-
-
우리의 질량
설재인 지음 / 시공사 / 2022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09/pimg_756949116330029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09/pimg_756949116330029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09/pimg_7569491163300297.jpg)
서평_우리의 질량_설재인_시공사
내 정신의 질량을 무게로 쟨다면 오만 킬로는 되려나?
모르겠다. 이 소설의 제목은 읽는 순간 심오함을 풍긴다.
풍긴다? 글이 시각적인 것뿐만 아니라 향기가 느껴진다는 건 특별한 건데.
'우리의 질량'
표지는 마치 깊은 바닷속에 어떤 여인이 풍덩 빠진 모습이다.
이건 이 소설의 주인공의 모습 같기도 한데 단순하면서도 어떤 상징성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적혀있는 글,
'우리는 평생
타인이 살아야 했던
그 삶의 질량을 몰라.
저 행성에 갈 수 없으니.'
이 역시 오묘한 뜻을 품고 있는 듯 보인다.
띠지 엔, 한국 문학의 흐름을 이어갈 차세대 여성 작가 설재인 신작!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람들이 모인 사후세계에서 시작되는 애틋하고 뭉클한 이해, 용서, 화해, 그리고 사랑!
작가님의 이력이 놀랍다. 단순히 작가만 하셨던 분이 아니라 특목고 수학 선생님 출신에 전국 복싱 대회에서 우승한 현역 선수라는 것에 놀랐다.
그런데다가 누구나 낼 수 있지만 아무나 낼 수 없는 소설을 이 작품까지 6권이나 냈고 1권의 에세이집이 있다.
세상에 그 체력과 열정과 끈기는 복싱에서 온 건가?
이런 말 실례지만 정말 지독하신 분 같다.
제목은 뭔가 철학적인데 이 소설은 판타지 소설이었다. 이 세계라고 하는 곳에서 벌어지는 주인공의 이야기인데 사후 세계다.
특이하게도 그곳은 저승이나 지옥이 아닌 자살한 사람들이 완전한 죽음으로 저승으로 가기 위한 과정을 거치는 곳인데 이곳에 오면 목에 검은 띠가 여러 겹 둘러진다. 함께 온 사람들과 신체 접촉을 하면 조금씩 없어진다는 건데 아마도 업보를 상징하는 듯하다. 저마다 사연을 가지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여 떨어지게 되는데 현실과 별 차이 없지만 생리활동도 없고 잠을 자거나 먹지 않아도 피곤함이나 배고픔이 없는 삶이다.
근데 막상 편하게 보일지 몰라도 왠지 되게 괴로울 것 같다.
주인공을 어떻게든 사람들로부터 접촉을 하여 이곳을 벗어나야 하는 게 임무다. 지난날을 돌아보며 옛 애인과 시련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드라마틱 하게 펼쳐지며 존재의 의미를 되새기는 소설이었다. 잔잔하면서도 감동과 재미를 선사하는 이 작품을 추천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