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편집장의 글을 잘 쓰는 법 - 자신의 글을 써보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에게
트리시 홀 지음, 신솔잎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_뉴욕타임스 편집장의 글을 잘 쓰는 법_트리시 홀_더베스트


글을 잘 쓴다는 기준이 무엇일까? 어려운 단어를 쓰며 멋들어진 문장으로 써봐야, 읽는 사람들은 얘가 겉멋이 단단히 들었네, 멋부리고 있네 등 귀신같이 쓴 사람의 심리를 안다. 문제는 그런 걸 알면 다행인데 자신의 착각도 모르고 글을 쓴다면 진짜 심각한 것이다.


바로 내가 그랬다.

지금은 글을 쓰면서 항상 타인을 생각하며 쓰려고 한다. 글의 목적에 따라 쓰이는 단어도 다르고 분위기도 틀려지기 때문에 글을 잘 쓴 다는 건 참 복합적이고 쉽지가 않다.


'서평_뉴욕타임스 편집장의 글을 잘 쓰는 법'


사실 내가 관심 있게 봤던 단어는 '뉴욕 타임스'였다. 소장하고 있는 책 중에 뉴욕타임스 범죄 관련 대표 기사를 수록한 것이 있는데 정말 재미있었다. 물론 번역된 걸 읽은 것이지만 뉴스 기사는 이렇게 쓰는 것이다,라는 예시를 보는 것 같았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싶었고 기대를 했다. 뉴욕타임스 기자들의 필력을 고스란히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다.


책 초반에는 저자가 저명한 편집장의 지위에 오르기까지의 성장과정을 들려준다. 정말 쉬운 것이 없었다. 실패와 성공의 반복 속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권위 있는 지위에 오르기까지의 여정이 말이다.

중반부에 들어서면 비로소 글 쓰는 법을 알려주는데 기술적인 면 자체를 가르쳐 주기보다는 글을 쓰려고 할 때의 마음가짐에 대해 더 심도 있게 다루는 것 같다. 어찌 보면 그것이 기본적이기도 했고 나보다는 타인의 말을 경청할 줄 아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글을 쓰면서 간과할 수 있는 실수에 대해서도 수록하고 있어서 참고가 될 만했다.


설득하는 글쓰기를 위한 15가지 원칙

1. 사람들에게 귀를 기울여라.

2.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을 고수한다.

3. 청중을 존중하라. 공감하는 법을 깨우쳐라.

4. 싸움을 걸어선 안 된다.

5. 감정을 건드려라.

6. 도덕적 가치관을 이해하라.

7. 공통점을 강조하라.

8. 당신이 잘 아는 주제가 무엇인가?

9. 독자를 놀라게 하라.

10. 구체적으로 명시하라.

11. 스토리가 있어야 한다.

12. 팩트는 마법이 아니다.

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팩트는 중요하다.

14. 특수한 전문 용어를 피하라.

15. 가차 없이 잘라내라.


이처럼 다양성을 가지고 글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내가 잘못 쓰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뉴욕 스타일 글쓰기가 아닌 뉴욕타임스 편집장의 글을 잘 쓰는 법에 대해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