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무삭제 완역본) - 현대판 프로메테우스 현대지성 클래식 37
메리 셸리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_프랑켄슈타인_메리셸리_현대지성


무엇보다도 각색 된 것이 아닌 초기 작품을 그대로 읽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작가의 천재성에 놀랐고 인생 풍파에 또 한 번 놀랐습니다. 이미 1800년도에 전염병으로 지구에 인류가 단 한명만 산 다는 소설 또한 작가가 가지고 온 최초의 소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프랑켄슈타인은 어쩌면 우리 내면의 자화상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는 무에서 유가 된 생명이 들어간 만들어진 존재고 흉악한 외모는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만들었죠. 하지만 마음은 아름다웠습니다. 그럼에도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고독하게 만들었던 것 같아요. 소설의 시작이 처음부터 엄격한 정보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던 것이 아니라 우연히 들은 이야기였고 그것이 저자의 꿈속에 나타나서 만들게 된 것이라고 하죠. 이미 소설을 시작으로 영화, 뮤지컬, 음악 등 사회 전반에서 종합 예술로 거듭난 하나의 문화가 된 것 같습니다. 공포 속에는 두려움과 무서움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슬픔과 끔찍한 상처가 있습니다. 그것이 분노와 복수의 심리로 승화되어 사람들에게 잔인한 상황을 만들게 되고 우리는 그걸 보며 공포의 감각을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저는 공포영화를 한 때 잘 봤습니다. 그리고 고어 영화도 곧 잘 봤는데 잔인하더라도 살인행위에 대한 이유를 찻게 되더라고요. 그게 철학적이면 더 좋아했습니다.
 
프랑켄슈타인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초판 버전이 작가의 의도가 가장 잘 표현이 되어 있고 나중에 나온 건 좀 더 문학적으로 다듬고 잔인한 부분을 줄여서 각색되었다고 하네요. 지금 생각해봐도 당시에 이런 상상으로 프랑켄슈타인을 탄생시킨 작가의 천재성에 놀랐습니다. 그리고 완벽한 이야기 구조는 왜 이 작품이 지금까지도 전세계적으로 사랑받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문득 프랑켄슈타인을 오마주로 만든 영화 중 하나가 '가위손'이라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여주인공을 사랑하게 되고 진심이 있다고 하지만 인간이 될 수 없는 괴물. 그래서 그 분노가 결국은 폭발하게 됩니다. 살인 자체는 용서가 될 수 없지만 그 양연성에서 우리는 심리적으로 동의를 하게 되는 것 같아요. 물론 현실에선 그러면 안되지만 어디까지나 문학 작품이기에 그러는 거죠. 프랑켄슈타인은 영원히 우리 마음의 명작으로 남을 위대한 문학적 유산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