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의 모든 것 - 35년의 연구 결과를 축적한 조현병 바이블
E. 풀러 토리 지음, 정지인 옮김, 권준수 감수 / 심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_조현병의 모든 것_ E. 풀러 토리


전 세계적으로 100명 중에 1명이 조현병에 평생 걸린다고 한다. 조현병은 국회에 통과 된 바뀌어진 병명이며 원래는 정신분열증이라고 했다. 정신이 분열된다. 즉 정신이 미쳐버린다. 미친 사람이다. 이런 어감으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학회에 탄원서를 보내고 수천명이 서명을 하여 이름을 바꾸어 달라고 해서 바뀌게 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이 단어가 아직도 낯설다. 이 또한 자연스런 변화를 주기 위해 홍보를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결과적으로 더 안좋은 사고들이 생겨났다고 한다. 하지만 극히 일부 환자들의 범죄였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이슈화로 인해 부각된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우리는 아직도 조현병에 대한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 듯하다. 왠지 무섭고, 나쁜 사람처럼 보이고, 비정상인 같다는 점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이제는 달리 보게 되었다. 
조현병 환자가 사고를 내게 되는 과정은 체계적이었다. 치료를 하고 개선이 되었는데, 재발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치료를 하지 않는다. 치료는 심리 치료 보다는 약물 치료다. 약을 먹지 않아서 상태가 악화되고 치료를 받으려고 할 때는 병실이 없다. 그렇게 해서 끔찍한 범죄가 발생된다고 한다. 물론 뉴스에 나오게 된 건 정말 일부라고 한다. 
조현병의 초기 환자는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 현실 부정을 하게 되고 이것이 발전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상황을 현실이라 인지하게 된다고 한다. 보통 강박증과 조현병을 같이 갖게 되는 사람이 많은데 여러가지 경우가 있다고 한다. 강박증에서 조현병으로 발전하는 경우. 조현병에서 강박증까지 오는 경우. 조현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강박증이 오는 경우. 조현병은 정상인들에게 이해 될 수 없지만 강박증은 이해가 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미 35년전에 출간이 되어 계속 개정되어 왔지만 한국엔 너무 늦게 나왔다고 한다. 지금까지 조현병의 전반을 다룬 국내 저서는 없었다고 하기에 기대가 되었고 정말 많은 정보들을 다루고 있다. 오해와 진실 그리고 선입견을 없애주는 훌륭한 책이라고 봤다.
조현병은 정말 무서운 병이지만 긍정적 치료 사고가 중요하다고 한다. 사실 필자는 그런 병에 걸린 환자이거나 강박증도 해당사항이 안되지만 적어도 조현병을 다룬 가장 훌륭한 책이 '조현병에 대한 모든 것' 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환자를 망상에 시달리는 이상한 사람에서 그치는게 아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책. 영화나 드라마에서 증상만 봐왔던 것을 이제는 올바르게 알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