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충격파 - 성균관대 김장현 교수의 AI 인사이트
김장현 지음 / 원앤원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이제는 AI에 대한 관심이 일시적인 호기심을 넘어 필수가 되어버린 시대이다. 사회 곳곳에서 AI의 존재감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정치, 경제를 넘어 교육, 일자리, 윤리 등 우리의 삶 전반에 미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시기에 단순히 AI 기술에 대한 설명을 넘어 지금 우리가 어디에 서 있으며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통찰력 있게 풀어내고 있다. 특히 AI를 국가적인 아젠다로 삼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 책은 그 흐름을 예리하게 짚어내며 AI가 바꿔놓은 현재와 앞으로의 미래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생성형 AI의 등장이 가져온 사회적인 충격, 인간 고유의 영역을 넘보는 AI의 창의력, 가짜 뉴스와 사회적 고립이라는 어두운 이면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어 AI 시대의 격변에 대한 통찰과 그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한 깊은 사유를 제시한다.
책은 챗GPT를 시작으로 본격화된 생성형 AI 혁명의 충격과 가능성을 짚으며 우리가 지금 문명의 전환기 한가운데 서 있음을 강조한다. 우리는 지금 AI라는 보이지 않는 충격파 중심에 있다. 이 거대한 파동은 경제, 노동, 교육, 나아가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까지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에선 AI가 생산성과 의료, 과학의 혁신을 이끌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기대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초지능의 등장과 대규모 일자리 소멸, 기술 불평등의 심화라는 디스토피아적 우려도 존재한다. 특히 대한민국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AI를 국가 생존 전략으로 삼고 본격적인 투자와 제도 정비에 나섰다. 현 정부가 AI 산업에 100조 원을 투입하고 대통령실에 AI 수석비서관직을 신설한 것은 기술을 단순한 선택이 아닌 국가 백년대계로 인식한 상징적인 행보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이 전환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막연한 기대나 공포가 아니라, 냉철한 현실 인식과 전략적 대응의 지혜라고 강조한다. 이 책은 AI의 현재부터 다가올 특이점, 그 빛과 그림자, 그리고 우리가 준비해야 할 현실적인 대응 방안까지 다섯 개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이 책은 기술 변화 그 너머에 있는 사회 구조, 인간의 역할, 그리고 생존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하고 인공지능을 둘러싼 막연한 논의를 넘어 독자가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 책은 인류가 맞이한 전환점에서 인공지능이 우리 삶과 문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를 통찰력 있게 풀어내고 있다. 특히 포스트휴먼 시대를 배경으로 AI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환경, 의료, 감정, 법과 안보까지 모든 영역에서 인간과 공존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음을 강조한다. AI는 기후 위기와 의료 혁신, 고령화와 정신 건강 문제, 에너지 전환과 스마트 도시 구축 등 인류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부상하고 있다. 동시에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AI는 인간과의 정서적 연결을 만들어가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산업의 기반을 형성한다. 이 책은 기술의 빛과 그림자를 함께 조명하며 우리에게 변화에 휩쓸릴 것인가 아니면 그 흐름을 주도할 것인가를 묻는다. 미래의 방향은 기술이 아닌, 기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그렇기에 이 책이 전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다가올 시대의 중심에는 AI가 아니라, AI와 함께 새로운 길을 만들어갈 인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AI와 함께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현실적 조언을 제시하고 있다.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는 이제 일상 속 도구로 자리 잡았고 그 확산 속도는 놀라울 정도다. 하지만 빠르게 퍼진 기술일수록 그에 따르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사실과 다른 내용을 그럴듯하게 제시하는 환각 현상과, AI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있다. 특히 학업 스트레스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AI에 쉽게 의존하고, 그 결과 창의성이나 비판적 사고가 약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중요한 경고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이 책은 AI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AI 리터러시’, 즉 여러 AI의 답변을 비교·분석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하나의 AI에만 의존하기보다,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해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역량은 독서, 여행, 교육 등 인간적인 경험과 기술 친숙도를 통해 길러진다. 결국 AI의 시대는 단순히 기술을 잘 쓰는 시대가 아니라그 속에서 스스로 사고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간의 시대이기도 하다.
결국 이 책은 인공지능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단순한 기술적 진보로 다루지 않고 있다. 사회, 경제, 교육, 인간의 역할에 이르기까지 AI가 미치는 파장을 균형 있게 바라보며 독자 스스로 질문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끈다. 책은 기술에 대한 막연한 기대나 공포에서 벗어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확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능동적인 대응임을 강조한다. AI가 삶 깊숙이 파고든 지금, 우리는 기술의 흐름에 휩쓸리는 존재가 아니라, 그 위에 올라타 스스로 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AI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라 하겠다. 기술과 함께 인간다움을 지켜내고 변화 속에서 주체적으로 길을 찾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실질적인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결국 미래의 중심에는 AI가 아니라, AI와 함께 길을 만들어갈 인간이 있어야 한다. 지금이 바로, 그 미래를 준비할 때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