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인간 이시후 창비아동문고 342
윤영주 지음, 김상욱 그림 / 창비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과 표지 그림에 끌려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은 희귀 질환으로 인해 냉동 보존 되었던 주인공 시후가 40년만에 깨어나 미래 사회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는 여정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SF적 상상력만을 담은 것이 아니라 삶과 죽음, 그 사이에 놓인 존재의 의미를 섬세하게 묻는다. 도시 위에 세워진 돔, 실제처럼 생생한 홀로그램,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인공지능 로봇 등이 아주 생생하면서도 세밀하게 담아낸 미래의 풍경들은 상상력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이 책의 이야기에 완전 빠져들게 만든다.


이 책은 첫 장면부터 우리를 단숨에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인다. "냉동 인간. 맞다, 나는 냉동인간이었지!"라는 말로 시작된 시후의 독백과 40년만에 깨어나 낯선 사람들과 공간에서 마주하는 장면은 생생하고 긴장감 있게 전개되며 다음 이야기를 궁금하게 만든다. 열두 살 소녀 시후는 불치병에 걸려 마지막 수단으로 냉동보전을 선택했고, 그렇게 차가운 캡슐 안에서 무려 40년이라는 시간을 건너 미래에서 눈을 뜨게 된 것이다. 그 사이 세상은 완전히 달라져 있었고, 사람들은 예전의 도시 대신 여러 개의 거대한 돔 안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이처럼 시후는 모든 것이 바뀐 낯선 세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게 되는 데 미래에서 40년만에 깨어난 시후는 괜찮은 걸까?


40년만에 보게 된 세상은 멋진 신세계처럼 보였다. 화려한 건물 사이로 초록이 우거지고, 미세먼지 없이 맑은 하늘 아래 따사로운 햇살이 내리쬐는 풍경은 마치 꿈꿔온 미래처럼 보인다. 너른 공원에서 개들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놀고, 아이들은 드론과 로봇 경주를 즐기며 신나게 놀고 있는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해 보이는 모습은 시후에게 멋진 신세계처럼 다가온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그 겉모습 뒤에 숨겨진 사회의 이면이 드러나게 되는데, 특히 수도 센트럴에서 멀리 떨어진 44지구에 살게 된 시후는 거주지에 따라 보이지 않는 위계와 차별을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시후가 마주한 미래는 단지 낯설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감당하기 여러운 상실과 외로움으로 가득 차있었다. 차가운 냉동 캡슐 속에서 40년을 보내는 동안, 시후의 가족은 냉동 보존 기업 '프로즌'의 횡포 속에서도 그를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걸었다. 그러나 시후가 눈을 뜬 세상엔 시후를 가장 사랑해주던 엄마와 할머니는 없었고, 자신에 기대고 귀엽던 동생 정후는 어느새 50세의 중년이 되어 있었다. 그마저도 오랜 시간 쌓인 감정의 벽으로 인해 냉정하고 차가운 말투로 시후를 대하며, 조카 보라는 이제 시후와 동갑이 또래 친구가 되어 있었다. "그건 거짓말이지?" 라고 외치던 시후의 절망과 무너진 현실 앞에서 힘없이 기절해버리는 장면은 시후의 혼란과 상실이 얼마나 큰 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과연 시후는 이 새로운 세계에서 삶의 의미를 다시 찾고,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시후의 뒷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통해 확인해보길 추천해본다.


시후가 마주한 차별과 외로움 속에서도 마음을 열고 누군가에게 손을 내밀었을 때, 이 책의이야기는 한층 깊고 따뜻해진다. “내 바람이 보태지면 조금은 더 힘이 세질지도 모르는 거니까.”라는 시후의 말처럼,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함께 노래를 만들며 부당한 현실에 맞서는 아이들의 모습은 작은 용기가 모일 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보여준다. 무대를 준비하며 점차 가까워지는 시후, 앙리, 페리, 그리고 보라의 모습은 아이들 사이의 연대와 우정, 그리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담아낸다.


특히, “그래, 나한텐 나만이 가진 경험이 있다.”는 시후의 깨달음은, 차별을 넘어서기 위한 첫 걸음은 바로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임을 일깨운다. 거대한 기업 ‘프로즌’의 그림자 아래에서도 끝내 침묵하지 않고 서로의 손을 잡는 아이들의 모습은 진심 어린 저항이 얼마나 강한 힘을 지닐 수 있는지를 감동적으로 그려낸다. 이처럼 이 책은 연대의 가치와 작지만 뜨거운 저항의 힘을 통해 독자에게 깊은 울림과 희망을 동시에 선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은 기술과 미래 사회라는 흥미로운 설정 속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깊고 따뜻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바나나팬케이크를 매개로 이어지는 가족의 사랑은 잊히지 않는 기억이자 시후를 지탱해주는 단단한 버팀목이 되어준다. 이 장면은 특히 감동적이며 오랫동안 울컥하게 만든다. 또한, 세월이 흘러도 바래지 않는 마음, 서로를 위한 희생과 배려, 그리고 그 속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의 용기는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안겨준다. 이 책은 단지 한 소년의 적응과 성장 이야기를 넘어 우리 모두가 잊지 말아야 할 사랑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일깨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가 함께 읽고 공감할 수 있는 작품으로 5월에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 참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