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책 읽기
앨런 제이콥스 지음, 고기탁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독서는 집중이 필요한 행동이다. 한권의 책을 읽기 위해서는 산만한 정신을 바로 잡고 책에 몰입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속독을 하는 사람이라도 몇시간 이상은 집중해서 글을 읽고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반면 출판시장에는 하루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신간들이 나온다. 인터넷 기사나 블로그의 글까지 더하면 문자는 우리 삶의 어디든지 존재한다. 이제는 읽지 않는 것이 더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특히 최근의 인문학 열풍은 독서를 읽어야만 하는 자기계발 수단으로 만들고 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한듯 바쁜 사회인들에게 효율적으로 독서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책들에 관심을 보인다. 자기계발을 원하는 사람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쉬운 방법을 원한다. 반면 이 책은 효율적인 독서와는 다른 관점으로 독자에게 접근한다. ‘독서의 기술’이라는 효율성을 강조하는 책과 비교하며 자유로운 독서를 추천한다.
자유로운 독서 , 재미없다면 중단하라 , 느리게 읽기 , 소설은 휴식이다. 반추하는 독서
실제로 우리이게 필요한것은 의무적인 독서, 생산성을 지향하는 방법이 아니라, 자유로운 독서다. 재미가 없는 책은 읽지 말아야 하며, 빠르게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대신 그 의미를 곱씹으며 진정 나를 위한 독서를 지향해야 한다. 소가 여울을 반추하듯 우리의 독서 내용과 그 의의를 반추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짜이 밀레가
책을 왜 읽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봤지만 그 이유는 시간이 지나고, 내 생각이 변함에 따라 여러번 바뀌었다. 아마 명확한 답은 없을것이며, 그 이유는 언제나 바뀌지 않을까. 하지만, 지금 이 순간도 이 책을 접하게 된 것도 독서에 대한 갈망이라 생각한다. 나의 즐거움을 더해주는 자유로운 독서를 생각하며 웃음짓는다.
‘독서천재가된 홍대리. 지식인의 서재, 생산적 책읽기, 죽기전에 읽어야할 100권’ 등을 보며 독서를 자기계발의 수단이며, 지식을 뽐내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한 적이 있다. 사실 3년전 처음 시작한 리뷰 작성은 처음에는 재미있었지만, 어느순간 독서 그 자체보다 리뷰를 위한 독서가 되기도 했다. 어떤 책들은 리뷰를 봐도 내가 이런 책을 읽었나 할 정도로 기억도 나지 않고, 가슴속에 기억되는 구절이나 감정도 없었다. 텍스트를 따라가는 의미없는 행동을 독서라고 자위하며, 지적인 허영을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는지 모른다.
감옥으로부터의 생각이 내 생각을 바꿨다. 사유없는 독서는 죽은것과 불과하며, 진정 느낀바가 없는 리뷰 작성도 공허할뿐이라는걸 느꼈다. 그 이후 자유로운 독서, 향유를 위한 독서, 내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추구하는 독서 방법을 지향한다. 지금 이 순간처럼 말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원하는 것만 집중해서 읽으면서) 즐거웠고, 리뷰를 쓰는 순간도 나를 위한 시간이다.
전자책은 결말과 현재 페이지, 목차를 쉽게 볼 수 없기에 오히려 온전히 독서에 집중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구글의 축복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지만, 구글의 재앙은 우연한 만남을 연결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만의 우연한 독서와 정보를 얻을 수 있는것을 기대한다.
책을 많이 읽는 것은 경험을 위함이고, 경험이 많은 사람만이 본인의 삶을 더욱 즐겁게 만들 수 있다. 삶의 축제다. 축제가 재미있고, 재미없을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다양한 축제를 통해 경험을 얻을 수 있기를 기원한다.
정보의 과부하 - 여과의 실패, 이제 필요한 것은 빠르고 잘 훓어보는 능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