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케의 로댕 - 개정판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음, 안상원 옮김 / 미술문화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릴케가 쓴 <로댕론>은 그 가운데 작은 하나일뿐이지만, 로댕에 대한 글일 뿐 아니라 릴케 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문헌이다.

릴케가 위대한 시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했던 예술 이해들이 이 글을 통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릴케의 시에 대해서, 로댕의 영향을 받아 릴케가 이루어내 성과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진 않치만 분명 무명의 릴케에게 로댕의 영향을 컸다는게 느껴지네요.

<신시집> 가운데서 릴케 사물시의 대표적인 시 한 편을 소개합니다.

표 범

파리, 수목원에서



스물세 살의 로댕



릴케가 바라본 로댕 이야기, 특히 로댕의 작품 하나 하나에 의미들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 마음속 깊은 울림이 있어요.

"이것은 로댕의 작품에서 표정의 탄생을 알려주는 것이다.

표정은 들어올린 두 팔 속에서 머뭇거리면서 시작되고 있다. 그리고 팔이 아직 그렇게 무거운지 한쪽 팔의 손은 다시 머리 위에서 쉬고 있다. 하지만 손은 잠든 것이 아니라 힘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오른발에는 첫 번째 걸음이 기다리고 있다."



로댕의 작품 발 하나, 얼굴에 표정 하나 하나가 예사롭지 않네요.

"니콜라스 3세의 발이 울었다는 대목을 읽었을 때 로뎅은 벌써 알았던 것이다. 우는 발이 있다는 것을, ..."



"그것은 이 얼굴표정 속에 모여 있는 삶의 충만이었다."

로댕은 이 마스크를 제작할 때 평온하게 앉아 있는 사람과 평온한 얼굴 하나가 그의 앞에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이었으며, 철저히 관찰함으러써 그는 그 얼굴이 움직임으로 가득한 것을, 불안과 파동으로 가득한 것을 알게 되었다.



로댕은 '완전한 몰두', 바로 이것이 조각에 고요를 부여했던 것이다.

릴케는 로댕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는 책을 많이 읽었다. 늘 책 한권을 손에 들고 있는 그의 모습을 브뤼셀의 거리에서 발견하는 것은 익숙한 일이었다. ... 그는 처음으로 단테의 <신곡>을 읽었다. "

그는 서로를 물어뜯는 동물들처럼

온몸을 서로 비비고 밀착하면서

하나의 사물로 엉켜 나락으로 추락하는 육체들을 창조하였다.

얼굴처럼 귀기울이는 육신들, 팔처럼 치켜든 육신들, 사실로 엮인 육신들, 휘감기고 덩쿨진 육신들 ...



"그는 이 전체 장관의 위대함과 모든 경악을 본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로댕의 조각품을 우리는 한번쯤은 다 본 적이 있을꺼에요.

그때 표정들을 살펴보셨나요?

팔의 모양, 발 뒤꿈치는 들고 있었는지...

<릴케의 로댕> 책을 읽으면서 로댕의 조각의 표정들을 어떻게 창조했는지 알게 되어 기쁘네요.

요근래에 리움미술관 현대미술 소장품전에서 로댕의 칼레의 시민을 봤었거든요.

그래서 이 책에 칼레의 시민 조각의 표정 이야기 푹 빠져 읽었네요.

"로댕은 곧바로 이 이야기 속에 무언가 위대한 일이 일어난 순간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로댕의 조각을 보면서 황홀을 느끼지 않을 사람이 누구일까요?

"그는 말하고 있는 흥분된 팔을 가졌으며, 그의 걸음은 다른 한 분이 뒤이어 오실 것을 예감하는 사람의 위대한 걸음이다."

느껴지시나요?



<릴케의 로댕> 책은 릴케의 눈으로 로댕의 삶과 예술을 포착한 책이에요.

조각이나 예술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릴케와 로댕을 잘 모르더라고 책의 첫 장을 펼치면 금세 그 안으로 빨려들어가네요.

꼭 읽고나서 로댕의 조각에서 표정들을 읽어보시길 바래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