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한 것들을 의심하는 100가지 철학
오가와 히토시 지음, 곽현아 옮김 / 이든서재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당연함을 의심하는 것'이다. '철학'이라는 학문은 당연함을 의심하는 방법을 한가득 축적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당연함을 의심하는 방법'을 배우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서양인들은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방법과 의심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교육에 도입해 왔다. 그러니 수업중에도 종종 손을 들고 질문을 한다. 질문할 거리가 있다는 것이야말로 의심하고 있다는 증거다. 반대로 동양의 대부분 학교에서는 수업 중에 거의 질문을 하지 않는다.┘

작가의 첫 머리글을 읽으면서 생각이 많아지더라구요.

우리도 '당연함을 의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요?

그럼 나부터 먼저 시작해보려구요.

<당연한 것들을 의심하는 100가지 철학>에는 당연함을 의심하는 50가지 방법과, 철학자에게 배우는 50가지 의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당연한 것들을 의심해 본 적이 있나요?

책을 읽으면서 나부터 시작했어요. '이렇게 활용해 보자', '생각해 보시오.' 라는 부분을 읽으면서 첫단추를 끼웠어요.


'알고 있는 사실을 모른다'라고 생각해 보자 -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나'

모른다는 사실을 겸허하게 인정하고 한발 더 나아가 알고자 노력한다면, 지식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현명해질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욕망의 더 깊은 곳을 꿰뚫어 보라 - 라캉의 '대상 a'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과연 하나의 물건일까? 그 실상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물건이 있는 일상은 원한다거나, 그 물건을 통해 누군가과 소통하기를 바라는 본심이 숨겨져 있는 건 아닐까?



시점을 분산해 보자 - 나나이의 '분산된 집중력'

나나이가 말한 것은 이처럼 대상에 집중하는 한편, '주의를 분산'하면 세상이 다르게 보인다는 점이었다. 당연하다고 여기던 것도 주의를 분산시켜 보면, 그 당연함이 다른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말이다.

죽음은 나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 보자 - 하이데거의 '디자인 존재론'

인간은 모두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로서, 대체 불가한 고유의 생을 살아가게 된다고 말한다. 죽음을 의식한다며, 누구나 제대로 살아가고자 할 것이다.

'말이 세상을 만든다'라고 생각해 보자 - 소쉬르의 '시뉴'

다른 사람이 "이곳은 남쪽 나라다."라고 말하면 꼭 남쪽 섬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마치 그 곳이 휴양지처럼 느껴져 설렐 수도 있다. 또는 어떤 물건을 '명품'이라고 부르면 무엇을 기준으로 정했는지는 모르지만, 다른 물건과는 어딘가 다른 기분이 드는 것은 참 신기한 일이다. 즉,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언어를 통해 형태가 만들어지는 측면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거 아니야?'라고 생각했던 것들인가요?

한번 생각해보세요.

<당연한 것들을 의심하는 100가지 철학> 책은 천천히 생각을 많이 하면서 읽게 되더라구요.

요즘 현대인들이 꼭 해봐야 할 의심들도 있네요.

이 부분은 꼭 모든 사람이 읽고 생각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가족 단톡방으로 사진 찍어 보냈어요.

'구글링하지 않는 편이 좋다'라고 생각해 보자 - 몽테뉴의 '쿠세주

┌만약 우리에게 무엇인가 고민이 되거나, 의문이 생기면 어떻게 할까? 바로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지 않을까? 그런 태도를 통렬하게 비판한 것이 프랑스 철학바 미셸 몽테뉴이다. 몽테뉴는 사람들이 외부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 하는 태도가 좋지 않다고 경계했다.┘

'인터넷이 세상을 편협하게 만든다'라고 생각해 보자 - 선스타인의 '인포메이션 코쿤'

사람들은 SNS를 필두로 한 인터넷 기술 덕에 자신만의 인포메이션 코쿤에 둘러싸여 있다. 확실히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만으로 둘러싸여 있으면 마음 편히 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선스타인은 그것이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지적한다.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다른 견해를 인지하고, 타인의 가치관을 이해하여, 함께 경험을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다. 인포케이션 코쿤은 그러한 경험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SNS에 이용당하고 있다'라고 생각해 보자 - 한병철의 '정보의 지배'

우리는 SNS를 이용하고 있는 걸까. 아니면 SNS에 이용당하고 있는 걸까?

기록보다 '기억이 중요하다'라고 생각해 보자 - 비코의 '토피카'

예쁘다고 생각했던 풍경이나 재미있다고 생각한 사건을 바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기억에 남기고자 할 것이다. 다만 기억은 사라질 테니, 잊지 않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햐면서 때때로 떠올리려 하지 않을까? 그렇게 일상에서 뇌를 더 많이 사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듯하다.



일상에서 조금만 시점을 바꿔도 행복을 느낄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일상에서 조금만 시점을 바꾸는 것, 의심은 끝이 아닌 시작인거네요.

의심한다 -> 관점을 바꾼다 -> 재구성한다

<당연한 것들을 의심하는 100가지 철학> 책으로 첫단추 끼우기 성공했어요.

의심하고 관점을 바꿔보고 있는 중입니다.



철학자에게 배우는 새로운 시선 꼭 우리에게 필요한 것 같아요.

책에서 실천하기 쉽도록 개별 방법을 활용하는 팁을 써두어서 이 방법을 반드시 활용하여 주변에서 일어나는 당연한 일들을 의심하게 될꺼 같아요!

당연함, 의심, 사고의 틀, 변화를 어렵게만 생각했는데, 지금부터 시작하면 되네요.

<당연한 것들을 의심하는 100가지 철학> 함께 읽어봐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