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전집 1 - 소설 다시 읽는 우리 문학 1
이상 지음 / 가람기획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제가 된 천재' 이상 깊이 읽기



한국문학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이상'

예전에 한번 한국문학 강의 들으면서 이상에 대해 배운 적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이상전집 넘 반갑더라구요.

이상전집1은 소설로만 총 16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12월 12일, 지도의 암실, 휴업과 사정, 지팡이 역사, 지주회시, 날개, 봉별기, 동해, 황소와 도깨비, 공포의 기록, 종생기, 환시기, 실화, 단발, 김유정, 불해한 계승


경성고등공업학교 시절의 이상, '제비'다방 시절의 이상 ... 그리고 이상이 그린 삽화들, 이상의 자필 유고시, 이상의 자화상까지 작품 읽기 전 다 보여주고 있네요.



문학평론가 장석주가 본 '이상'은 모독당한 최초의 모더니스트에요.

┌ 스물일곱 나이로 요절한 천재작가 이상. '한국 현대시 최고의 실험적 모더니스트이자 한국 시사 최고의 아방가르드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상은 어두운 식민지 시대에 돌출한 모던 보이다. 그의 등장 자체가 한국 현대문학 사상 최고의 스캔들이다. ┘



이상의 작품은 어려워요... ㅎㅎㅎ

저만 그런거 아니죠?!

"21세기의 문턱에 이른 현재까지도 이상은 온전히 이해되지 않은 아방가르드이며, '첨단'이다."

그런데 이상이라는 작가를 알면 작품이 '이렇게 쓰였구나...'하고 조금은 아주 어렴풋이 이해가 되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작품 앞에 이상에 대한 사진 자료들 그리고 문학평론가의 글이 도움이 되네요.

┌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 나는 유쾌하오. 이런 때는 연애까지 유쾌하오'로 시작되는 소설 <날개>는 바로 금홍과의 동거체험에서 건져낸 작품이다. ┘

'이상'하면 <날개> 작품이 떠오르잖아요.

저도 <날개>만 몇번을 읽었거든요.

┌ 1인칭 독백으로 시작되는 <날개>속의 '나'는 바로 작가 이상 자신으로, 철저하게 고립된 자아와 내면의 고독을 의식의 흐름에 따라 해부하고 있다. ┘

<날개>속의 '나'를 작가 이상으로 생각하고 철저하게 고립된 자아와 내면의 고독을 생각하면서 다시 읽어봤네요.



<날개> 마지막 단락이에요.

나는 불현듯 겨드랑이가 가렵다. 아하, 그것은 내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국이다. 오늘은 없는 이 날개. 머릿속에서는 희망과 야심이 말소된 페이지가 딕셔너리 넘어가듯 번뜩였다.

나는 걷던 걸음을 멈추고 그리고 일어나 한번 이렇게 외쳐 보고 싶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국이 가렵대요.

그리고 날개야 다시 돋아라라고... 한 번만 더 날자꾸나... 이렇게 말하는 '나'가 이상 작가라고 생각하니 더 뭔가 뭉클한 기분이 들더라구요.

<날개>외에도 다양한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는 <이상전집1 - 소설>!!!

날개 다음으로 읽고 싶은 작품으로 <12월 12일>로 정했네요.



이상 작가의 소설을 만나고 싶다면 <이상전집1 소설>!!!

봄바람이 살랑 살랑 부는 요즘... 딱 책읽기 좋네요.

이상 작가의 매력을 듬뿍 느껴보시길 바래요.


"21세기의 문턱에 이른 현재까지도 이상은 온전히 이해되지 않은 아방가르드이며, ‘첨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