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생활자
황보름 지음 / 열림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 속 인물이 꼭 황보름 작가 같았어요.

"혼자서 누구보다 잘 노는 사람으로, 단순하고 단조로운 일상이 주는 평온함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단순'

단순한 생활이 좋은 건, 일상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이 깃든 생활이라서다. 내 삶과 동떨어진 것들이 아닌, 내 몸과 마음에 밀착된 매일의 일과의 의미를 부여하며 시간을 쓰는 생활.

깊고 느리기 쉬는 숨을 통해 ... 더 단순해질 수 있을까.

그랬으면 좋겠다.

"작가님은 잘 쉬시나요?"

내가 잘 쉬고 있나 스스로 물을 필요도 없이, 나는 바로 잘 쉬고 있다고 대답했다. 잘 쉬면서 살고 싶어 몇 년째 잘 쉬는 방법을 모색해왔으니까.



바로 여기가 황보름 작가가 왜 <단순 생활자> 책을 썼는지 이해가 가는 부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잘 쉬고 있다.'라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리는 혼자서 뭘 하는 게 익숙하지 않아."라고 대답하지 않을까.

나는 이 부분에서 지금 시대의 우리도 혼자서 뭘 하는 게 익숙하지 않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때문에 이 부분이 크게 와닿지 않았나 싶다.

(책 속에 소개되어 있는 캘로라인 냅의 '명랑한 은둔자', 메리 파이퍼의 ;나는 내 나이가 참 좋다' 읽어보고 싶다. 특히 황보름 작가는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에서도 그랬지만 책 속의 책 소개를 너무 잘하는것 같다. >.<;;)



책을 읽으면서 황보름 작가의 잘 쉬면서 살고 싶어 몇 년째 잘 쉬는 방법을 모색해 온 다양한 이야기를 읽어보면서 나만의 잘 쉬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잘 쉬는 방법은 사람들마다 다르다.

한가지 정답이 있는건 아니다.

단순, 잘 쉬는 방법 그리고 특히 황보름 작가가 말하는 외로움이 참 와닿았다.

"너네는 안 외로워?"

"외롭지. 어떻게 안 외로워."

"너넨 외로울 때 뭐 해?"

"나는 걸어. 나는 걷고 맥주 마시고 그래."

외로움이란 신발 쿠션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사람마다 제 발에 편한 쿠션이 있듯 제게 편한 외로움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에게 맞는 외로움을 찾아 나선다.



소파와 한몸이 되어 있는 나 그런 내가 요즘 부쩍 산책, 걷기에 관심이 생겼다.

걷기에 대한 작가의 생각, 이야기도 공감이 간다.

너무 맘에 드는 표현이라 밑줄 쫙~!

"걷기는 육체적인 동시에 정신적인 자유의 표현이다."

"내가 이렇게 산책을 나오는 것 역시 삶을 환기하는 방법이었다."



단순 생활자를 꿈꾸는 모든 사람에게 책의 문장을 빌려 말해주고 싶다.

서두르지도, 쉬지도 말라.

굉장히 어려운 말이다. 서두르지도 말고, 쉬지도 말고.

난 여기서 "쉬지도 말라."에 더 꽂혔다.

가만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나 자신을 무언가를 하고 있다면 충분히 "쉬지 않는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나뭇가지를 랍으며 집 주변을 산책하는 것이라도 말이다.

남이 판단하지 않고 내 자신이 판단해야 할 몫이라 생각이 든다.



---------------------------------------

나를 푹 쉬도록 허락한다.

나를 몰아세우지 않고 느슨하게 풀어준다.

힘을 내, 말하기보다 내 안에 힘을 차오르도록 기다린다.

---------------------------------------

꼭 나에게 해주는 말 같았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큰 위로가 된것 같다.







‘단순‘

단순한 생활이 좋은 건, 일상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이 깃든 생활이라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