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 라이프 - 내 삶을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6월
평점 :
요즘 우리의 관심사는 어떻게 하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행복보다는 돈과 명예를 중시하고 있긴 하지만 점진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추세다. 그 결과로 저녁이 있는 삶을 바라고 있다. 야근으로 인한 수당보다 차라리 수당 없이 저녁을 택하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어가고 있다.
최인철 교수의 굿 라이프란 책을 읽었다. 부제로는 내 삶을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라고 한다. 좋은 삶이란 무엇일까? 그리고 좋은 삶을 위해 바꾸어야 할 심리학의 지혜는 무엇일까? 물론 책 내용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것이 많았다. 알고 있으면서도 실천이 어려운 것들도 있다.
책의 내용은 행복에 대한 정의부터 출발한다. 우리가 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과연 그 뜻은 무엇인지 한자로 풀이하면서 행복에 관한 정의에 무엇이 어울리는지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행복과 유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행복한 사람들의 삶의 기술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말한다.
행복한 사람들의 삶의 기술은 10가지 이야기했다. 우리는 다 안다. 좋아하는 일을 해야 행복해 진다는 것을 말이다. 그러나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을 벌기란 쉽지 않다. 현실과 이상은 다르다. 이 괴리감 만큼이나 현실에 치열하게 사는 사람들은 이 말에 공감하지 못한다. 결국 이것은 공부만을 해 온 사람들의 심리결과일 뿐이다. 누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지 않을까? 누구나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싶어한다.
물론 우리가 바쁘게 살아가면서 저자의 이야기처럼 소소한 즐거움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사실 일상은 같아 보이나 실상은 조금이라도 다른 점이 있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서 있는 나무는 달라진다. 그것 뿐이 아니다. 사람들의 옷차림도 달라지니 주변을 돌아보면 흥미로운 것도 있을 것이다.
학문은 때론 너무 높은 곳에 있다. 거리에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설문 조사를 해도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한 삶을 꿈꿀 것이다. 누군 처음부터 이런 일 저런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돈을 벌기 위해 먹고 살기 위해 닥치는 대로 일을 할 뿐이다. 그래도 돈을 벌어야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믿음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다. 행복의 방향성을 수정할 필요는 있다. 하지만 학문이 낮은 곳으로 내려왔으면 좋겠다. 이 책은 여전히 심리학이란 학문이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을 보여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