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기계 - AI의 미래
토비 월시 지음, 이기동 옮김 / 프리뷰 / 2018년 6월
평점 :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이 관심을 끌었다. 기계와 인간의 바둑 게임이라니..... 그런데 여기서 등장한 단어가 인공지능 AI였다. 그동안 인공지능이란 단어를 들어본 적이 없다. 기계는 기계일 뿐 기계가 생각한다는 것은 쉽게 상상하지 못했다. 바둑 중계를 보지 않았어도 그 결과에 대해 관심은 가지고 있었다. 다만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다고 했을 때 스스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가운데 이런 수와 저런 수가 있었나 보다 생각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인공지능은 내가 예상하고 있는 것 보다 훨씬 다양한 수를 스스로 생각할 수 있다고 했다. 토비 월시의 AI의 미래 생각하는 기계란 책을 읽었다. 부제는 인공지능시대가 축복인가? 였는데 과연 축복의 시대가 될지 저주의 시대가 될지는 잘 모르겠다. 물리학자로 유명한 스티븐 호킹이 인공지능이 앞으로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아는데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염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심지어 소피아란 로봇이 인류를 파괴할 것이란 이야기도 한 적이 있어 논란이 많다.
책은 인공지능의 역사, 인공지능의 현재 그리고 미래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미 1950년대에 인공지능에 관한 것을 예견한 학자가 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었지만 생각보다 우리 사회 곳곳에 너무나 깊게 인공지능이 들어와 있다는 것이 더 놀라운 일이었다. 자율주행 자동차 같은 경우 최근 실험을 많이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그 외에 우리 사회에 상당 부분 많은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놀라움을 넘어 충격이었다. 시대를 앞서 고민하고 생각해 보기 위해서라도 인공지능이 앞으로 우리 사회에 줄 영향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았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부정적으로 보여져도 미래에 되어질 일이 아니라 지금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인공지능이 만들 10대 변화를 보면 컴퓨터가 인간을 채용하고 해고한다든지 인공지능 범죄가 새롭게 유행한다는 내용은 정말 이게 가능하다면 이런 시대에 살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이제 우리는 다가올 미래를 위해 새로운 고민을 해야 한다.
앞으로 얼마나 놀라운 일이 펼쳐질지는 모르겠다. 아마 1980년대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2010년대의 삶을 이야기해 준다고 해도 과연 그것을 믿을 수 있었을까? 우리가 당시 상상하지 못했던 삶이 지금 현실이 되어 있다. 이미 현실이 된 인공지능을 우린 어떻게 함께 갈 동반자로 만들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