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플오션 전략>을 리뷰해주세요.
퍼플오션전략 - 블루오션을 뛰어넘는 21세기 생존비법
인현진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퍼플오션이 어떤 말인지부터 먼저 짚고 넘어가자. Purple is a general term used in English to describe a range of shades of color occurring between red and blue. 자줏빛이다. 레드오션과 블루오션을 혼합한 퍼플오션은 왜 필요한가. 블루오션(미개척시장)의 개척시장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레드오션(치열한 경쟁)에서 문제시 되었던 차별화 전략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자는 것이다. 이 책에는 퍼플오션의 구체적 전략을 세계 유수의 성공기업을 통해 해답을 찾아간다. 아홉개의 성공기업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기업의 창조성과 구성원의 자율성이다. 창조성을 어렵게 바라보아서는 해답을 얻을 수 없다. 지금까지 세상에 없었던 무엇인가를 창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실 지금껏 창조성이라는 것도 알고보면 기존의 만들어 진 것을 가지고 낯설게 보는 작업이다. 우리에게 펼쳐진 사물과 현상을 낯설게 보는 것을 창의력, 창조성이다. 이제는 개인이나 사회나 국가가 꼭 받아들여야 할 가치가 되었다. 

책에 나오는 아홉가지 성공기업중 감명깊게 읽은 부분은 Semco와 Google이다. 셈코 기업을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전혀 불가능하고 적응할 수 없는 기업 같다. 하지만 그들은 당당하게 사업확장과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직원들에게 무한자유를 주고,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환경을 만들어준다. 한마디로 신명나게 즐겁게 일하게 해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구글은 어떤가, 그들은 소비자 뿐만아니라 직원들에게 공짜를 무한 제공한다. 수요자들에게 검색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직원들에게도 진정성을 담아 공짜로 정보와 복지를 주는 것이다. 이를 사용하는 어느 누가 즐겁지 않은가. 역시나 가고 싶은 직장 일순위다. 사실 짧은 생각으로 직원들을 이용만 하려는 우리 기업문화와 차이가 많이난다. 각자 가지고 있는 창의성과 자발성을 뽑아 쓸 수 있다면 기업에 더 큰 이익을 되는 것을 그들은 망각한다. 

이 밖에도 디자인을 영혼의 쉼터로 생각하고 인간중심의 가치를 실현하는 IDEO(아이데오),, 루이비통과 압솔루트 보드카의 끊임없는 변화의 노력, 그러나 루이비통은 패션과 아트의 콜래보경제학을 보여준다. 브랜드간의 경쟁력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나간다. 압솔루트 보드카에 담긴 진정성과 일관성, 그리고 테마를 통한 예술홍보, 그리고 생각해보면 요즘 일본에서 주목이 되는 생막걸리에 관한 수출전략에도 참조할 만하다. 맛으로 보나 영양으로 보아도 훌륭한 막걸이를 플라스틱에 담아 팔고 있다는 점은 압솔루트 보드카를 보며 반면교사할 부분이다. 그외 낫소스 기업의 탄소시장 개척은 창조성과 블루오션의 선도자법칙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미국 오리건주의 움프쿠아 은행이나, 싱가포르의 래플스 병원은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자신만의 차멸화 전략이 돗보이는 부분이다. 

신자유주의의 폐해를 많이들 지적한다. 그렇다고 자본주의를 포기하고 살기에는 우리는 너무 많이 와 있고, 우리 몸에 익숙해져 있다. 익숙함속에 나태가 자리잡았고, 치열한 경쟁이 요구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기가 더욱 힘들다. 직장에서 환경도 만들어 주지 않고 계속적으로 수익을 요구한다. 창의력과 자율성를 갖기에는 역부족이다. 중간만 하자고, 흘러가는 데로 가자고 포기하며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번 [퍼플오션전략]은 나에게나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예전에 대학교수님이 남들의 주장들을 잘 경청하고, 각 학설의 단점을 파악하고 장점을 합친 절충설이 세상에 가장 이치에 맞다는 얘기를 해주신 점이 생각난다. 퍼플오션이 단순한 절충설을 넘어 창의력- 낯설게 보며 재창조하는 것, 자율성-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된다.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