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 희망, 미래>를 리뷰해주세요.
꿈, 희망, 미래 - 아시아의 빌 게이츠 스티브 김의 성공신화
스티브 김 지음 / 21세기북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공을 말하기전에 행복을 말하는 남자. 그렇지만 우리 사회는 성공해야 출세해야 행복하다는 인식이 팽팽해있다. 다들 잘 살고 있는 것 같은데, 나만 통장잔고를 보며 힘들게 살고 있지 않은가 걱정하며 살고 있다.  

저자인 스티브 김도 가난한 어린시절과 청년시절을 보냈다고 한다. 가난한 삶속에서 헝그리정신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했다고 한다. 그 가난이 지금의 자신이 있었다고 말한다. 솔직히 결과론적인 이야기가 아닐까, 만약 성공하지 않았다면 부모의 가난을 원망하지 않았을까. 부모로부터 배려와 긍정적 마인드를 배웠다고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도 월납금을 못낼때, 누나의 옷을 자신의 교복으로 만들어 입을 때, 부모의 가난을 탓 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가 군대를 마치고 도미를 결정했을 때 한국에서 더이상의 기반도 미련도 없었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그의 노력과 열정을 높이 사면서도 한편으로는 그가 한 선택이 그에게 행운을 가져다주었다는 생각도 해본다. 미국에서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선택한 일, 창업을 해서 돈을 번 것도 좋은 사람들을 만나서가 아닐까. 두번째 회사 자일랜을 만들고 나스닥에 상장하여 큰 성공을 거둔 후, 나중에 엄청난 돈을 받고 프랑스회사에 팔아버린 일, 저자도 말했듯이 저자의 선택은 탁월했다. 저자가 말하는 이야기중 만약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다면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 말한다. 

 저자에게서 배울 수 있는 점은 자신이 선택한 일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니 후회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을까, 긍정적인 찾아보고 현실에 집중하는 태도일 것이다. hindsight... 일이 지난 뒤 늦게 깨닫는 지혜.. 

사실 이 책에서 주목한 부분은 CEO로서 조직을 어떻게 이끌어갔을까, 특히 인재를 어떻게 선별하고 관리했을까 하는 점이다. 저자는 조직에서 필요한 사람은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주어진 일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깔끔하게 처리해 줄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창업부터 함께 한 미국인 동료를 해고한 점도 술회하고 있다. 물론 정말 헤어짐을 잘 해야 한다는 점도 충분히 인지시켜 준다. 사람관계가 얼마나 중요하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강조한다. 회사 직원들과 소통은 그들과 함께 힘을 모을 수 있는 신뢰를 싹트게 한다.  

또 한가지 미국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는 여건이 된 것은 미국의 시스템이다. 학연도 지연도 묻지않고, 접대문화도 없다는 점이다. 주주가 주인이고, 이사회는 독립사외이사로 사장을 견제하고 독려하는 모습은 신선한 충격을 준다. 우리가 앞으로 두고두고 가슴에 새겨야 할 부분이 아닌지 자문해본다.  

우리 사회는 부자를 부러워하면서도 그들을 질시한다는 점도 인정한다. 그만큼 부자들은 자신의 노력이 아닌 부정과 탈법적 수단으로 돈을 모아왔고, 이런 돈을 쓰는 것도 인색하다. 저자가 실천하고 있는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우리 사회에 촉매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열정을 가지고 좋아하는 일을 열심히 하면, 성공의 길이 열린다. 사회적으로 이런 환경과 시스템 조성이 먼저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