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살라 인디아]의 서평을 보내주세요.
맛살라 인디아 - 현직 외교관의 생생한 인도 보고서
김승호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 정도 가보고 싶은 나라 '인도'.. '인도'라는 말은 '바라타의 영토'를 뜻한다. '바라타'라는 세계최장편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 나오고  '마하바라타'는 인도 고전, 중세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책의 제목의 '맛살라' 역시 인도의 세종대왕이라고 할 수 있는 악바르 대제의 문화, 정치적인 통합 관용정책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사실 이전에는 인도에 대해 역사서를 통한 지식밖에 없었다. 우리 교육이 서양,특히 미국이나 유럽역사에 치중하다보니, 인도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공부했겠는가. 고작 안다는 것이 뉴스나 신문을 통해 우리의 자동차, 가전제품의 새로운 시장으로 개척하고 있다는 점, 카슈미르 지역의 분쟁과 테러 위험성, 중국과 더불어 빈부의 차가 무지하게 심한 곳, 그리고 위대한 성인 간디..이정도 밖에. 

하지만 이 책을 보면 인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알 수 있었고, 특히 인도가 앞으로 세계에서 가장 잠재력이 큰 나라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먼저 10억이라는 인구와 드넓은 영토를 소유하고 있다는 점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시장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론 장점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언어와 종교, 빈부의 격차, 정치적 혼란과 항상 테러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은 장애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이 모든 것을 특유의 민족성를 통해 조정과 통합를 시도하고 있다. 

따지고보면 자본주의 국가에서 빈부의 차, 종교적 갈등, 테러나 분쟁의 소지가 없는 나라가 얼마나 될까. 예전처럼 군사적으로 다른 나라를 함부로 침범하기 힘든 여건이다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배, 피지배관계가 존속한다. 그러나 인도가 어떤 나라인가, 인류문명의 발상지가 아닌가. 그들 민족성에 흐르는 자부심과 당당함은 대다수 국민이 경제적 어려움속에서도 굳굳하게 이겨낼 수 있는 바탕과 뿌리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우리는 인도를 언듯 후진국, 개발도상국 정도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은 우리가 염원하는 노벨상을 여섯번이나 차지했고, 우리가 석굴암을 자랑할 때, 아잔타 엘로라 동굴을 내민다. 우리가 삼국유사를 들먹이면 그들은 마하바타라, 리그베다를 내세운다. 남북한 7천만보다 많은 1억명 이상이 영어를 구사하고 서양으로 부터 아웃소싱을 받아 그들의 일을 해낸다, 세계 과학계, 특히 우주항공분야는 최첨단이다.  부러운 게 이 뿐만 아니다. 현대사에 우리는 존경할 만한 대통령이 없다. 인도의 칼람 대통령처럼 청빈하고 나라를 위해 헌신한 사람을 가져보지 못했다. 

나는 인도를 통해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반추해 본다. 또한 '맛살라 인디아'를 통해 인도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마도 인도에 관한 생동감있는 보고서를 읽은 것 같다. 한 나라가 강하고 힘있는 나라로 갈 수 있는 길은 통합과 관용에서 나온다. 인도는 끊임없이 이를 실천하고 중이다. 우리도 내부적인 갈등을 넘어서 통합과 관용으로 우뚝설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맛살라'를  다시금 되새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