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거서 크리스티를 처음 만난건 초등학교 때 친구네 집에서였습니다.

그 친구 집엔 셜록 홈즈 시리즈와 해문출판사에서 나온 빨간색 애거서 크리스티 시리즈가 책꽂이에 쭉 꽃혀 있었죠.

친구에게 책을 빌려 밤새 읽곤 하던 기억이 나네요.

그 당시에도 친구들 사이에선 셜록 홈즈파와 애거서 크리스티(푸아로)파로 나눠져서 종종 누가 더 위대한 탐정인가 논쟁이 되곤 했었죠.

사소한 증거를 찾아서 발빠르게 움직이는 홈즈도 좋았지만 그 작은 회색 뇌를 가동시켜 그자리에서 모든 사건을 해결하는 벨기에 탐정인 포와로(그 시절에는 이렇게 불렀어요)도 매력적이었습니다.

제 기억엔 처음엔 셜록 홈즈였다가 나중에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 세계에 더 매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아직도 기억나는 그녀의 작품은 <쥐덫> (이건 그때 당시 세로줄로 된 책으로 읽었었어요),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오리엔트 특급 살인> 등 많이 있습니다.

그 이후로 엘러리 퀸의 <Y의 비극>이라든지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까지 추리문학에 푹 빠지게 되었네요.

어쨌거나 저의 유년시절을 풍성하게 만들어 준데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공로가 크다고 할 수 있겠네요 ^^

소설은 그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고 하죠?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의 저자 설혜심은 영국 역사를 전공한 역사학자입니다.

역사학자의 시선으로 본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과 '자서전'은 어떨지 사뭇 궁금해졌습니다.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요, 애거서의 작품 속에 나오는 16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그 시대 영국의 모습을 유추 해 볼 수 있어서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녀가 집에 아주 큰 집착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과 간호사와 약제사의 경력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은 놀라웠습니다.

특히 영국인들에게 집이라는 것은 자신의 사생활부터 시작해서 그 땅에 소유권을 주장하는 아주 중요한 매개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었습니다.

오죽하면 '영국인들에게 집은 조국의 대체제다'라는 격언과

'독일인은 독일에 살고 로마인은 로마에 살고 튀르크인은 튀르크에 산다. 그러나 영국인은 집에 산다'라는 시가 나왔을까요?

1차 세계대전은 그녀를 간호사의 길로 이끌었는데요, 이후 약제사의 경력까지 획득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훗날 작품 속에서 다양한 약학지식으로 독약과 관련된 살인사건을 창조해 냅니다.

실제로 병동에 비해 훨씬 한가했던 조제실에서 2년을 보내면서 처음으로 추리소설을 쓸 생각을 했다고 하네요.

암튼 작가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작품세계를 창조해 내는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소설가이자 고고학 발굴에도 참여하고 또한 영국 최초의 여성 서퍼이기도 한 애거서.

그녀의 작품들도 미스터리하지만 그녀 자신도 미스터리한 부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1926년 실종사건입니다.

'스타일즈'라고 이름 붙인 서닝데일의 자택에서 나간 뒤 사라져 버렸는데요, 대대적인 수색이 시작되었고 멀지 않은 곳에서 그녀의 소지품이 그대로 놓인 자동차만 발견되었습니다.

'남편의 외도에 충격받은 젊은 여성 추리작가의 실종'은 엄청난 화젯거리가 되었는데요, 11일이 지난 후에 해러게이트의 한 스파 호텔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남편과 의사는 일시적인 기억상실증에 걸렸다고 발표했는데... 글쎄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네요.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 [아가사: 살인의 진실(2018)]도 본 기억이 나네요.

영화 보실분은 참고하세요. (참고로 이 영화는 아가사 크리스티 재단의 승인없이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ㅎㅎ)



지금까지 아무 생각없이 추리소설로서만 그녀의 작품들을 읽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부분들도 많이 보게 되네요.

전쟁과 배급제에 관련된 문제들, 외국인 혐오와 편견, 사회 계급과 제국주의적 관점 등,

물론 그 시대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생각이었겠지만 지금 시대와는 다른 관점으로 읽힌다는 점들을 염두에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 시절 영국의 시대상황을 잘 알게 되었고, 오랜만에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들을 다시 꺼내서 읽고 싶게 만드는 책이었습니다.

또한 저자의 다른 책들도 보고 싶어지네요.

최고로 심혈을 기울인 저작이라고 자부하는 <인삼의 세계사>를 찾아봐야겠네요 ^^

 [해당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