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의 시간>(마스다 미리 지음, 권남희옮김, 이봄,2017)


 내가 믿고 보는 작가님들이 몇 명 계신데, 그 중 한 분이 마스다 미리 작가님이다. 처음 작가님의 책을 접한 것은 아마 "오늘도 화를 내고 말았습니다."였다. 그 때 당시 아마 화 나는 일이 많았던 것 같은데, 읽고 나니 공감되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이 책 저 책을 다 찾아보면서 읽게 되었다. 최근에 나온 이 책 "차의 시간"까지 합쳐서 마스다 미리 작가님 리플렛을 보면서 내가 모든 책을 다 읽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 만큼 작가님의 어떤 주제로 쓴 글이든 에세이 만화 할것 없이 다 읽었다. 그래서 더 기대 되었다. 요즘 같이 차를 마시는 시간이 많을 때, 어떤 에피소드로 책을 꾸몄을지 궁금한 마음을 가지며 책을 봤다. 
.
 마스다 미리 작가님은 올해 49세의 만화가 이자 일러스트레이터, 에세이스트이시다. 진솔함과 담백한 위트로 진한 감동을 준 만화 '수짱 시리즈'를 통해 유명해졌으며, 3~40대 여성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고 있는 작가님이다. 
.
 나 역시 작가님의 신간이 나오면 무턱대고 읽어보는 편이니,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한다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
 책은 작가님의 여느 책이 그렇듯, 차의 시간을 가질 때의 에피소드를 통해 여러 가지의 울림을 가져다 준다. 
"가게 안이 고요해진 순간에 이 대사가 울렸습니다. “나 행복해지고 싶어.”(p33)"
.
"서른이 되면 이제 끝. 이것은 물론 그녀의 본심입니다. 본심이긴 하지만 굳은 믿음이 아니라 참새 눈물 정도의 본심으로, 서른 살이 돼도 모든 게 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p45)"
.
이렇게 우연히 들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에피소드를 보는 것 역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나 역시 혼자 차를 마시며 일하면서 우연히 들리는 이야기에 생각해보기도 하는 내 일상도 반영된 느낌이었다. 
.
그리고 역시 자아성찰의 부분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카페에서 하는 그런 자아성찰이다. 
.
"칼로리도 높을 것 같고, 마흔 다섯이나 되어서 이런 걸 먹어도 될까요…...그래도 하루하루 늙어가니까, 가장 젊은 오늘 먹는 것이 베스트일지도요.(p68)"
.
"맙소사 어째서 커피만 시키는 게 안 될까? 뭔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p97)"
.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다이어트나 건강에 대해서 생각을 아무래도 하게 되니 나 역시 이런 부분이 눈에 들어왔다.
게다가 요번 "차의 시간"에는 한국에 오셨을 때의 에피소드까지 포함 되어 있어서 더 눈길이 갔다.

"한국에서는 혼자 한 개씩 디저트를 먹기보다 여러 가지 주문해서 함께 먹는 것이 보통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일본 카페에 가서 놀란다고 합니다. (p80)" 
.
생각해 보지 않았던 것이었는데, 작가님이 이렇게 이야기 하니 또 한 번 각자 먹지 않는 나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들이 떠오른다. 
그리고 그냥 꼭 차의 시간이라서 생각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우리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
"문득 어떤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전에 읽은 책에 산불을 기다리는 씨앗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자연발화로 산불이 나기를 간절히 기다렸다가 다른 나무가 타서 없어지고, 충분한 빛을 확보했을 때 단단한 과실에 씨를 흩트려, 나무로 성장해가는 그런 씨가 있듯이, 사람도 여러 타입이 있어서 서로 살아남는 거로구나.(p114)"
.
마스다 미리 작가님의 책은 어떻게 보면 남는 것이 없는 정말 일상이라고 생각하고, 심심하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내가 느끼는 작가님의 책은 그 일상이 그냥 위안이 되고 힐링이 되는 책이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고 나 만의 "차의 시간"를 한 번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
"평범한 차의 시간 따뜻한 한 잔의 커피를 이 아이들의 일상에서 빼앗는 일이 없기를 계산서를 들고 일어설 때, 마음은 이미 다음 ‘차의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p148)"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강사이다. 공부법에 대한 책을 그래도 성인치고는 많이 읽은 편이었고, 나도 나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맞는 학습법을 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 책은 겨울 방학을 앞두고 필요한 책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읽는 내내 공감을 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았으며, 저자가 직접 경험에 의해 적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방학이 되면 학생들이 너나 할 것 없이 계획을 세운다. 나역시 학교 다닐 때 그랬다. 하지만, 그 계획이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질 않는다. 할 수 있을 만큼의 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책의 구성은 총 두 파트로 나누어 지고 있다. 처음에는 시간관리법 위주로 서술되어 있으며, 두번째 파트는 3회독 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시간관리법 부분은 어른들이 활용해도 좋을 만한 내용들이 많다고 느껴졌다. 학부모님과 아이들이 두루두루 읽으면서 활용할 수 있을꺼 같은 느낌이 들었다. 

 책을 보면서 내가 공감되었던 부분 위주로 서술해 보려고 한다. 아이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 "공부는 왜 하는 것인가?"이다 나도 늘 성실한지 안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공부로 알아보려고 한다는 식의 말을 하였는데 책에서도 비슷하게 나와 있다. 

p23 공부란, 성실한 사람이 되어 가는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

공감되는 부분이다. 게다가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조차도 강조하는 저자의 글을 보니 인성과 성적을 둘다 거머쥔 분이 아닌가 생각했다.

방학 공부법 이다 보니, 내가 지도하고 있는 수학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수학은 겨울방학처럼 긴 방학동안 예습을 하고 훈련을 하면 좋은 과목임에 분명하다. 수학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 학생들은 방학에 도전해 보는 것이 어떨지 생각하였다. 그리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습관에서 공감되었다. 나 역시 밤에 하는 일을 하다가 늦게 잔 적이 더러 있다. 그러면 자기 합리화를 하며 늦잠에 대해 관대해진다. 일찍 자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늦게 자는 날도 일어나는 시각을 정해 놓는 것이 좋다는 저자의 의견에 공감이 되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공부를 하면 누구나 느꼈듯이 하루가 길다. 공부 할 수 있는 과목이나 양도 많아지고, 알찬 하루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일찍 일어나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은 "p33의무적으로 일어나야 할 상황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공감된다.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독서의 중요성을 말로 할 수 없겠지만, 중고생 같은 경우에는 공부가 더 중요할 때가 있다. (나는 독서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p45 책은 오로지 공부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서, 자기 전까지만 읽어라 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중학생 정도는 독서도 어느 정도 할애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을 생각해 보는 구절이었다. 

 시간관리 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도서관에 가는 습관이다. 나도 가끔 짧은 시간에 도서관에 갈꺼면 집에서 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했으나, 그렇게 집에 있으면 늘 하는 일을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도서관이든 어느 장소에 가면 책도 읽고, 공부할 것도 하게 되는데, 짧은 시간이라도 다녀오는 것이 더 좋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저자의 경험에서 아마 나온 것이라 더 믿음이 갔다.

 시간관리법에서는 p100 성적보다 중요한 것은 인성이며, 그 인성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이 '성실함'이라고 말했다. 이부분이 제일 공감이 갔다. 누구나 다 성실하고 싶어지지만 학생들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그 시간관리를 하여 성실함까지 가져다 줄 책이라 생각한다. 

 두번째 파트를 보면서 나는 공부 3력에 대해 다시 생각이 들었다. 공부의 3력은 이해력,암기력, 사고력이라는 사실을 보는 것도 신기했다. 알고 있었으나 무언가 명료한 문장이라는 생각이다. 학생들의 공부법에 대해 좀 더 생각할 수 있는 파트라고 할 수 있었다. 최소 3회독을 할 것을 권할 것이며, 기본서에 충실한 교재로 진행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수학을 그냥 이해를 시키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응용문제 못 푸는 아이들에게는 암기력도 강조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164

응용문제를 틀리는 가장 큰 원인이 '문제 풀이의 부족'이 아니라, '암기의 부족'이기 때문이다. 

이 문구를 보고 나는 유레카를 외쳤다. 무언가 고민했던 부분이 해결되는 것 같았다. 나는 학생들이 사고력이 부족하였다고 이해가 다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는데, 암기력의 문제라고 생각하니, 뭔가 명쾌해졌다. 

그리고 휴식 시간에는 진정한 휴식을 해야 된다는 부분도 그리고 마지막 문장인

p238 그러니 지금은 조금 고통스럽더라도 치열하게 고민하며 공부하라, 그러면 훗날 성적표를 받을 때, 당신은 반드시 웃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동기부여가 될 학생들을 생각하며, 학부모님들도 나름 아이들을 위해 고민할 수 있는 책이 될 거 같다. (원고지 12.6장)


다산북스에서 제공받아 쓴 솔직한 서평입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