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역사문화공원 - 역사의 숲에서 위인을 만나요 천천히 읽는 책 60
김영식 지음 / 현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망우동"하면 어떤 생각과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대부분 공동묘지라는 단어를 생각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망우동하면 공동묘지가 떠오르면서 왠지 무섭고 으스스한 동네가 아닐까? 이런 생각을 쭈욱 가지고 있었어요.

하지만 <망우역사문화공원>이라는 책을 통해 그 이미지가 많이 깨졌어요. 우리나라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많은 분들이 계시는 곳이어서 무서운 곳이 아니라 체험 학습의 현장이랍니다.

이 책을 통해 많은 분들이 망우동에 대한 이미지를 벗고 이곳에 한번쯤 방문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망우라는 단어는 잊을 망(忘), 근심 우(憂)을 써서 근심 걱정을 잊는다는 뜻이에요.

이 단어는 태조 이성계가 내려주신 이름이었기에

조선시대, 이 동네 사람들은 자부심을 가지고 살았어요.

하지만 일제가 이곳에 공동묘지를 만들면서 어두운 이미지로 바뀌어 사람들은 망우동이라는 이름을 창피하게 생각했어요.

그런데 이 망우리 공동묘지에 근대 시대의 선구자들이 많이 잠들어 계시는 것이 알려지면서 지금은 많은 시민들이 찾는 곳으로 바뀌었어요.

망우리 공동묘지를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만들게 되었는데 엄청 넓어서 하루에 다 보기 힘들정도라고 해요.


책에서는 3일 코스로 나누어 공원 곳곳을 소개해주고 있는데 책을 따라 아이와 함께 꼬옥 다녀와보고 싶었어요.

일본으로 가족을 보내고 다시 만나기 위해 애썼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았던 화가 이중섭.

망우리에 이중섭을 화장한 뼈가 반은 묻혀있는데

이곳을 방문하여 그를 다시 한번 기억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현대 미술관에서 열린 <이건희 특별전 : 이중섭>을 통해 봤던 그의 그림은 가족을 얼마나 사랑하고 그리워했는지 잘 표현이 되어 있어요.

국민 화가 이중섭을 미술관이 아닌 이 공원에서도 만날 수 있다니 반가웠어요.

3.1만세 운동 후 감옥에 갇혀 안타깝게 돌아가신 유관순 열사의 묘는 돌볼 사람이 없어 아무도 찾을 수 없게 되었는데 이곳에 유관순과 무연고 묘를 묻고 합장비를 세웠어요.


그래서 공원을 방문하면 유관순 열사를 생각해보며 그녀를 기릴 수 있어요. 삼일절에 다른 곳도 좋지만 망우역사문화공원에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잠시 해보았어요.



예전에 교과서에서 배웠던 시인인 박인환, 김상용 시인의 묘도 이곳에서 만날 수 있어요. 애국지사, 화가, 소설가, 왕족 등등 정말 많은 분들이 이곳에 묻혀져 있다니 망우역사문화공원이 정말 다르게 느껴지네요.




현북스의 천천히 읽는 책 시리즈로 만나보게 된 망우역사문화공원.

천천히 읽는 독서 운동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책 덕분에

망우역사문화공원에 묻혀진 분들의 삶을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이 책을 가지고 아이와 함께 망우동에 방문하여 책에서 읽었던 곳을 눈으로 보면서 내 발로 밟으면서 역사의 현장을 다시한번 되새겨보면서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만들어야겠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