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 - 소설처럼 읽는 고대 그리스 생활사
필립 마티작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역사나 위인 알렉산드로스 이야기, 플루타르크 영웅전, 그리스 로마 신화 등등 다양한 책을 통해 세계사에 관심을 가졌고 그리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가지 책을 통해 산발적으로 알게되는 고대 그리스를 하나의 이야기로 통합시키는 것이 나에게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내 머릿속에는 단편적으로 길게 늘어세운 그리스 역사 이야기가 들어 있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8명의 주인공을 통해 단편적이었던 그리스 역사, 문화들이 생동감있게 다가왔고 보다 더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역사책 속에서 조선시대를 이해하는 것보다 드라마를 통해 조선시대를 들여다보면 뭔가 다채롭고 더 이해하기 쉬운 것처럼 이 책도 그런 느낌을 가지고 읽어나갔다.

건축가, 외교관, 상인, 도망자, 농부, 달리기 선수, 어린 신부, 리라 연주자는 8명은 우리가 만나볼 <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달리기 선수인 시밀로스는 올림피아 제전에서 단거리 200미터 달리기 선수이다. 올림피아 제전은 그당시 고대 그리스의 꽃이었고 그중에서도 단거리 대회 우승자는 큰 영예를 안고 상금을 받고 영웅 대접을 받는다. 이 영광을 얻기 위해 선수들은 훈련하고 자신에게 투자를 한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 운동선수들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훈련하고 연습하는 모습과 별반 다를바 없었다.


마케도니아의 국왕의 최측근 외교관 페르세우스의 여행을 통해 마케도니아, 이집트, 셀레우코스 세나라와의 관계와 그당시 그리스의 돌아가는 정세를 조금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허구의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쓰여졌기에 나중에 역사책을 보면 아마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이집트인들이 요구하는 세라피스 신을 위한 신전을 짓는 건축가 메톤을 통해서 신전을 짓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몇 번을 봐도 잊어버리는 도리야 양식, 이오니아 양식, 코린토스 양식이 소설 속의 이야기를 통해 단박에 이해가 되는 점이 참 신기했다. 그리스의 신전은 원래 흰색이 아니라 화려한 색으로 칠해져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편이 죽고나서 농사일을 하며 가정을 이끌어가는 이피타. 그당시 집안의 주인은 남자였기에 명목상 집안의 주인은 아들이었다. 여자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배경, 아들의 혼사를 통한 그당시 결혼 문화, 다양한 농사와 올림피아 제전기간 동안 몰려드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업 등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인물들의 1년의 삶을 통해 그리스인의 생활상을 떠올려볼 수 있고 그당시 정세를 살펴볼 수 있아. 8명의 인물들이 각자 살던 곳에서 올림피아 제전이 열리는 곳으로 모여들면서 주인공들은 서로 마주치기도 하고 스쳐지나가기도 한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다.

그당시 그리스인들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도 어차피 같은 인간이기에 살아가는 모습은 다들 비슷한 것 같다.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은 달라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른듯 비슷한듯 막 그렇다. 이 책을 읽고 역사책을 읽으면 훨씬 더 잘 읽혀질 것 같다.

이렇게 다양한 인물들의 1년의 삶을 통해 그리스인의 생활상을 떠올려볼 수 있고 그당시 정세를 살펴볼 수 있아. 8명의 인물들이 각자 살던 곳에서 올림피아 제전이 열리는 곳으로 모여들면서 주인공들은 서로 마주치기도 하고 스쳐지나가기도 한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다.


그당시 그리스인들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도 어차피 같은 인간이기에 살아가는 모습은 다들 비슷한 것 같다.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은 달라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른듯 비슷한듯 막 그렇다. 이 책을 읽고 역사책을 읽으면 훨씬 더 잘 읽혀질 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