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로봇 천 원에 팔아요! - 용돈으로 배우는 경제 이야기 처음부터 제대로 9
김영미 글, 송효정 그림 / 키위북스(어린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용돈은 언제부터 줘야하나? 용돈기입장은 언제부터 써야할까? 등등 아이가 초등학생이 되면 경제 관념들을 알려 주어야 할 것 같은데 그 시기를 잡기가 참 어렵다.


우리집 초3 언니는 용돈관련 책들을 참 좋아하는데 그런 책들을 읽고 용돈을 주면 안되냐고 본인이 요청해서 초2, 작년부터 용돈을 주게 되었다. 더불어 용돈기입장도 쓰고 있다. 처음에는 신기하고 재미있어 했는데 요근래 시들해져서 귀찮아하고 있다.


<내 로봇 천원에 팔아요!> 또한 용돈 관련책이다보니 아이는 책을 보자마자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렸다. 다 읽고 나서 어음이 뭐냐고 물어봐서 나를 당황시키기도 했다.




찬이는 엄마 심부름으로 아침에 두부를 사러 나갔다가 아빠를 돕는 같은 반 친구 민수를 만나게 된다. 알고보니 민수는 아빠를 돕고 용돈을 받아서 돈을 모으고 있었다. 그래서 찬이도 민수처럼 용돈을 벌고 싶은 마음에 부모님께 말씀드려 집안일과 심부름을 하고 용돈을 받게 되었다.


열심히 아르바이트를 하여 돈을 받은 민수는 친구들에게 한턱 쏘고, 게임도 하며 하루에 돈을 다 써버리고 만다. 정말 이 부분을 읽으며 아이들은 다 똑같은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우리집 초3 제이도 돈에 대한 개념없이 자신의 용돈으로 친구들에게 장난감, 간식 등 인심좋게 하루에 가진 돈을 다쓰고 온 적이 있기 때문에 아이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고민을 했었다.

아이랑 다이소에 가게 되면 이것저것 구경하다 아이는 뭔가를 손에 잡고 사달라고 한다. 예전에는 그냥 사준 적이 많았지만 사실 대부분 쓸데없는 것들이라 사주면서도 뭔가 찝찝한 기분.

이러면 안될 것 같아서 이제는 본인이 모은 용돈으로 사게 한다. 그러면 희안하게도 제일 비싼 것만 고르던 아이가 자연스레 저렴한 것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본인 돈은 귀한 것을 알게 되는 마법이 펼쳐진다. 그래서 용돈을 아이에게 주고 돈을 모아서 사게 하는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용돈을 다 쓰고 부모님께 혼나고 우울해진 찬이는 민수와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 그리고 둘은 같이 벼룩시장에 물건을 내다 팔아서 용돈도 마련하게 된다. 통장을 개설하게 되면서 찬이의 꿈에 한발자국 더 다가서게 된다.




책을 통해 스토리를 읽어가면서 다양한 경제 관념들을 배울 수 있어서 아이와 함께 꼭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아르바이트 통해 용돈을 벌어보고, 벼룩시장을 통해 어떻게 해야 물건이 팔리는지, 용돈을 하루에 왜 다써버리면 안되는지 등등 자연스럽게 경제를 배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초등 교과와도 연계가 되어 있어 책을 통해 경제 개념도 배우고 학교 수업에도 도움이 된다.

돈은 소중한 것이고 없으면 안되는 것이기에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경제관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면 좋을 것 같다. 그 시작은 <내 로봇 천원에 팔아요!>를 읽는 것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