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와의 기싸움 - 사랑과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부부싸움보다 힘겨운 전쟁
메리 커신카 지음, 안진희 옮김 / 북라이프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실제 아이와의 기싸움은 부모님들에게 골칫거리이다. 쌔근쌔근 잘 때가 제일 편했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아이와 무슨 싸움이겠냐, 쉽게 생각할 노릇이 아니다. 아이와의 갈등 상황에 처할 때 마다 아이들과 연결을 끊지 않고, 차분함을 잃지 않으면서 아이의 문제를 깨닫게 해 주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배워야만 하는 스킬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많은 부모들이 실제 들려준 이야기들로 일화들이 많이 등장한다. 다투는 실제 상황에서 느끼는 어른과 아이의 스트레스가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고, 생각도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는 이미 너무 커 버린 아이라, 아이의 욕구를 모를 때가 많다. 아이들 마다 서로 성격적인 특징이 달라서 부모들은 한 가지 교육형태를 고집할 수도 없다.
이렇게 힘든 자녀 양육 중에 저자는 감정 코칭을 강조하면서 수 많은 장에 걸쳐 이 기술을 전수해 주고 있다. 감정 코칭을 잘 하면 , 이 책의 제목 대로 기싸움을 잘 하게 될 수 있다. 감정코칭은 아이가 부모에게 협력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즉, 서로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키워주는 것이다. 깊은 유대감 속에서 부모와 자식은 기꺼이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협력하려는 마음이 생기게 된다. 감정 코칭은 아이의 시각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고, 아이의 말을 잘 듣겠다는 부모의 다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우선 아이와 유대감을 쌓는 방법으로서 여러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격렬한 감정을 가라앉히고, 기준을 강화하는 방법, 아이의 감정 폭발을 진정시키는 법, 공감을 이끌어내는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흔히 아이가 작아서 무시하는 경우도 많은데, 아이의 감정은 아주 예민하다. 그래서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분노를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럴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코칭팁이 정리되어 있어서 유용했다. 아이의 성격을 완고함, 민감성, 적응성, 활동성, 규칙성, 감정성 등으로 분류함으로써 각각의 아이들에 맞는 감정 코칭을 하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사고형과 감정형은 MBTI에서 검사하는 것인데, 타고나는 것인만큼 미리 부모가 알아서 그에 알맞는 감정 코칭을 하면 좋을 것 같았다.
또한 부모가 해야 할 일 중 인생에서 꼭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도 있다. 할거냐 말거냐 윽박지르는 대신 평정심을 유지하고 무작정 명령하지 않아야 한다. 많은 부모들이 ㅇㅇ 해야만 한다 라고 윽박지르고 있는데 그럴 것이 아니라 감정을 식별하고 이해하도록 도우며, 할 수 없다고 두려워 할 때에는 다독이는 등 상황에 맞는 대처법이 필요했다. 이렇게 기본적인 감정 코칭과 함께 아이들과 깊은 유대를 형성한다면 아이들은 부모가 필요하게 된다.아이들이 커가면서 수준이 높아질 수록, 부모의 수준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결국 부모 스스로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감정코칭=기싸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