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밥상
제인 구달 외 지음, 김은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만 들어도 침팬지 수천마리가 우르르 달려올 것 같은 그 이름, 제인 구달 박사님이 쓰신,

대체적으로는

초국적 자본의 식량장악이나 유전자 조작 식품, 비인도적인 식용동물 사육을 비판하고,

소비자의 힘을 이용해서 '건강한 식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자.

라는 내용이다.

 

육류의 소비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꼭 먹어야 겠다면 소규모의 자영농장에서 방목해서 기른 육류로 먹고,

될 수 있으면 지역 근처의 농가에서 재배한 것을 먹고,(커피도 열대우림 그늘에서 자란 것이나 페어트레이드를 강조하신다.)

초국적 자본의 횡포를 막기 위해 모두가 분연히 일어나야 한다, 고 생각하시는 듯.

 

이 책의 최고 단점은, 다 아는 얘기가 새삼스럽게 나와서 읽는 재미는 없다는 것이다.

인간의 식량이 되기 위해 거의 고문수준의 삶을 사는 가축들이라거나,

항생제가 들어간 사료를 먹는 동물때문에 내성을 갖는 슈퍼세균이 생긴다는 문제,

유전자 조작 작물의 특허를 두고 벌어지는 거대 자본의(어이없기 까지한) 횡포... 

생각하고 싶지 않은 무시무시한 이야기도 많다.

중간에 사진들도 있어서 더 그런지도(흑백이라 다행이다. 컬러였으면 정말 토했을거다-_-;;).

사진중에는 입에 깔대기를 물고 고통스러워 하는 거위가 인상적이었다.

음, 비위생적, 비인도적으로 사육되고 도살되는 한국의 일부 식용개들이 떠오르는 장면이기도.......

(책에 한국 얘기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구달 박사님이 이 얘길 알았다면 쓰지 않으셨을까.)

 

책 읽다보면, '차라리 정원에 밭이라도 하나 만들어서 채식을 해야 하는거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사 먹는 것중에는 정말 먹을 것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책.....

 

유기농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만드는 것에 대한 아이디어는 한국에서도 따라할 만 하다고 보는데,

매주 일요일에 시청앞 잔디밭이나, 일산에 호수공원 같은곳에 자리를 정해서 장을 여는 거다!

경기도에서 유기농으로 키운 당근이나 감자같은게 막 나오고.

가격만 잘 잡으면 호응도 괜찮을것 같은데.

아, 시청앞은 주거지역이 아니라 좀 그렇겠다...-_-;;;;;;;;;

저녁 반찬사러 시청앞까지 가기엔 너무 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