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백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8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가는 고백 한 편으로 베스트 셀러 작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일본의 추리소설 상을 휩쓸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책이 데뷔작이라는 것이다. 물만두님의 서평에서는 이 책을 얻어걸렸다며 놀라워했다고 쓰여 있다. 내가 추리소설을 많이 본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형식의 추리소설은 놀랍기 그지 없었다.
보통 추리소설이라 하면 우리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중간중간에 단서가 나열되며 마지막에 탐정이 나타나 해명하고 설명하며 풀이한다고 생각한다. 고백이라는 작품은 그것을 깨버렸다고 생각된다. 놀라운 형식이었다. 각기 다른 5명의 화자가 서로 한 사건에 대해서 고백하며 다양한 시점에서 사건을 보여준다. 어떻게 보면 심리적 묘사를 훨씬 더 탁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몰입을 빠르게 진행시켜 준다는 장점이 엿보인다.
일본의 추리소설은 정말 사회적 문제점을 많이 담고 있는 것 같다. 붉은 손가락에서도 그렇지만, 고백에서도 청소년들의 범죄 의식과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담고 있다. 가족안에서 소외되는 청소년들과 그리고 범죄라는 것을 저질렀을 때 과연 어떤 처벌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고뇌가 담겨있다. 작가는 청소년 범죄 자체는 처벌하기가 힘듦을 모순으로 내세우고 있다. 책임능력, 행위능력이 본문에 언급된다.
내용은 사실 간단하다. 유코라는 여선생님의 4살 딸이 수영장에서 익사된채 발견된다. 이 사건을 두고 딸인 미나미의 엄마인 유코의 고백, 범죄 당사자인 두 명의 학생의 고백, 학생중에서도 반장의 고백이 이어진다. 범죄가 나타나는 심리를 보게 되면 두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자신이 돋보이고 싶어한다. 청소년들의 우월 심리가 나타나는 부분이었다. 그에 관한 다양한 화자의 고백을 보여주는 형식의 이 책은 제도의 헛점과 교육은 어떤 내용을 담아햐 하는 가에 대한 질문을 우리에게 남겨주었다고 생각한다. 고백의 마지막 부분에는 역시 반전이 놓여 있다. 과연 누가 잘못인가? 사회인가, 아니면 청소년들 자신인가, 가족의 사랑인가....
이 책을 보면서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학생인권조례 문제이다. 학생의 단체 행동권, 두발의 자유, 차별받지 않을 권리 등등. 학생들의 자유를 보다 충실히 보장해 주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차별받지 않을 권리 및 두발의 자유는 뭐 이해할 수 있겠다. 그 부분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비판이 많았으니까. 내가 학교 다닐적인 12-3년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머리가 3cm이상이면 학생주임 선생님이 머리에 '터미'라고 글을 새겨놓았다. 뒤에 가서 선생님 욕을 할지 언정, 선생님을 폭행하고 부모님이 학교에 와서 큰 소리를 내고 하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 시대는 변했으니까 새로운 부대에 새로운 술을 담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과연 학생들의 어떻게 보면 파업권을 보장해 주었는데, 작은 것 하나 마음에 안 들면 학생들이 단체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왜? 그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하다. 작은 것 하나에도 민감한 시기가 청소년이기 때문이다. 민감한 아이들에게 총을 준 것과 같다. 그들은 선생님의 한 마디에도 총을 사용할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염려로 이 글을 썼다고 생각한다. 하나의 경종일 것이다. 청소년은 국가의 대들보라고 한 20년은 넘게 들어온 것 같다. 대체 교권을 힘 없게 무너뜨리면서 자율 자율만 강조하다 보면 교육은 의미가 없어지는 것 같다. 선생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 군사부일체. 이렇게 하자는 건 지나치게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다. 그래도 가르치는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 존경심은 가지고 있어야 하는게 사람의 도리가 아닌가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