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 야하고 매혹적인 이야기라고 기억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무미건조하다.
술탄과 세에라지드이야기도 별로 없고
이야기속의 이야기, 이야기, 또 이야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들이 건조하게 나열되었있다는 느낌..
6권 끝까지 다 못 읽을것 같다..

슬쩍 뒤져보니 내가 어릴때 봤던 아라비안 나이트는 리처드 버튼 판이었다??
앙투완 갈랑은 아동용이라고?
그래서 하나도 안 에로틱하고 서술형으로 나열만?
익숙한 표지.. 역시 나는 범우사의 아라비안 나이트를 읽었던 거다.
밤새.. 날 새는 줄도 모르고 읽었었는데.
고전삘의 열린책들 앙투완버전보다는 훨씬 재미있었다는 기억이 있다.
지금도 그럴까? ㅎ


책 뒤에 조르주 메의 말이 압권이다
- ˝천일야화˝는 결국 앙투완 갈랑의 작품이며, 아랍 문화의 걸작이 아닌 프랑스 문학의 걸작이다 -

그것이 바로 서구 문학의 연구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된 이 걸작이 엄밀한 의미에서 번역물이라기보다 창작물이라고 할수 있는 까닭이다.
창작물.

집에 있는 인디고판도 버튼?
차라리 인디고 판으로 짧고 굵게
이쁜 삽화로 다시 읽어야 겠다~ ㅋ

입으로 입으로 흘러다니던 이야기들이 활자로 기록되면서 쓰는 자에 의해 전해지는 자들에 의해 번역되는 자들에 의해 얼마나 왜곡되었을까..
그 옛날 이 이야기들이 입으로 전해지던 그 때는 어떤 느낌들로 전해졌는지 궁금해진다.

우리의 심청전이 남성에 의해 활자로 기록되면서 효만을 강조하는 이야기로 전해지듯이..
저잣거리에서 광대들에게서 소리로 불려지던 심청이는 과연 어떤 내용일까~
분명 지금의 이런 이야기는 아니었을거라고 과감히 추측해본다..

아랍인들의 아라비안 나이트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