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이 지고 새싹들이 올라오고 있다
오래된 고목들의 새싹의 연두빛이 보고 싶어 근처 담양 관방제림 예술창고로 모임하는 회원들 옆구리를 찔렀다
눈으로는 연두빛을 담고 귀로는 음악이 들어오고 머리와 입으로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곱씹고 담고..

여행기를 읽으면서 눈으로만 머리로만 입으로만 읽을수는 없지않은가
비록 연암의 여로를 따라갈수는 없어도 계절을 느끼고 바람을 느끼고 햇빛을 느껴야 할것 같다

이 가까운 길에도 길치는 어쩔수 없어 길도 잃어 시골 동네길을 따라 대치. 수북. 심지어 메타세콰이어가 양옆으로 늘어져 있는 담양의 모든길들을 헤매고 다닌듯 하다
잘못했으면 순창으로 넘어갈뻔~~

덕분에 원없이 한없이 돋아나는 새싹을 보고 또 보고
드리이브 제대로 했다

역시 여행은 길을 잃어야 제 맛이다


열하일기속
산해관에서 북경까지의 이야기
관내정사

- 강산이 그림같이 아름답구먼 하기엔 내가,
˝자넨 강산도 모르고 그림도 모르네. 강산이 그림에서 나왔는가? 아니면 그림이 강산에서 나왔는가? 그러므로 무릇 ‘흡사하다‘‘같다‘‘유사하다‘‘닮았다‘‘꼭 같다‘등은 같은 것을 비유하는 말들이지만, 그러나 비슷한 것을 가지고 비슷하다고 비유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비슷한 것일뿐이지 진짜는 아니네.. (p393)

- 대저 제것 아닌 물건에 손을 대는 놈을 일러 도적놈이라 하고, 살아 있는것을 잔인하게 대하고 사물에 해를 끼치는 놈을 화적놈이라고 하느리라. 네놈들은 밤낮을 쏘다니며 분주하게 팔뚝을 걷어붙이고 눈을 부릅뜨고 남의 것을 훔치고 낚아채려 하면서도 부끄러운 줄을 모른다. 심한 놈은 돈을 형님이라 부르고 장수가 되겠다고 제 아내조차 죽이는 판인데 삼강오륜을 더 이야기할 나위가 있겠느냐? (p424)

- 감히 물어본다. 하늘이 행동과사업을 통해서 보여 준다고 한다면 오랑캐가 중국의 제도를 바꾸고 고친 것은 천하의 큰 치욕일 터이니 인민들의 혹독한 원한은 어찌할 것인가?... 그리하여 사람이 많으면 일시적으로 하늘도 이기기는 하지만 결국 하늘이 정해지면 사람을 이기게 된다는 격언이 그 자리에 횡행하게 되며 하늘과 인민이 임금을 도와주고 편을 든다는 말은 도리어 그 기세에 눌려 늘그머니 자취를 감추고 그 격언에 순종하게 되고 앞 시대 성인의 말씀에 징험해 보아도 부합하지 않으면 문득 ‘천지의 운수가 이와 같은 것이야‘라고 말하게 된다 (p429)

 

- 공자가 일직이 나라 다스리는 법을 묻는 제자에게 답했으나 이는 다만 말로만 대답했을 뿐이지 실제 몸소 실천 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후세에 하늘의 뜻을 계승하여 임금의 자리에 올랐다는 임금들은 그 학문이 꼭 공자보다 나은 것은 아니었지만 공자가 했던 말을 즉시 거행하기도 했다. 이것은 어찌 중화민족만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이겠는가? 오랑캐 출신으로 중국의 주인이 도니 자들도 그 도를 물려 받아서 자기것으로 삼지 않은 임금이 없었다.  의식이 풍족해야  사람이 예절을 안다고 했으니, 자기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강하게 하려는 후세의 임금들은 그 자신이 차라리 각박하고 베푼 은혜가 적다는 불명예를 뒤집어 썼을지언정, 어찌 자기자신의 사리사욕만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겠는가? 사람의 마음은 오직 위태하고 도심은 미약한 즈음에 임금이 과연 어떤 마음씨를 썼는가를 논하고, 임금이 한 사업이 공적인 것인가 혹은 사적인 것이가를 따져본다면, 그들 임금을 두고 소위 '마음씨가 정밀하고 전일했다'는 뜻의 유정유일의 마음씨를 가지고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p459)

 

- 천하에 정말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이 단 한면이라도 있다면 그에게는 여한이 없을 것이다. 아! 사람들의 심정은 항상 그런 사람이 있는지 스스로를 살펴보아서, 한 명도 없으면 때로 큰 바보가 되거나 미치광이가 되고 만다. 이럴 때 내가 아닌 남의 처지에서 나를 살펴보아, 나라고 하는 사람이 만물과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느껴져야, 장차 몸놀림이 자유로워져서 여유가 있고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성인들은 이런 방법을 사용했으므로 세상을 버리고 은둔해도 고민이 없을 수 있었으며 외롭게 혼자 있어도 두려움이 없을 수 있었다. 공자는 '남들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아도 화를 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겠는가?"라고 했으며, 노자도 "나를 알아 주는 사람이 드물다면, 아마 나는 귀한 존재 일 것이다"라고 했으니, 그들은  남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정말 그 사람의 속 사정을 들여다 보면, 미상불 천하에 한 사람쯤은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이 있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p 471)

 

- 이렇게 천하 사람들이 나를 몰라보게 되었으니 나는 성인도 되고 부처도 되고 현인과 호걸이 도니 셈이다. 거깃 미친 체 했던 은나라 기자나 초나라 접여처럼 미쳐 날뛰어도 되겠지만 장차 누구와 함께 이 지극한 즐거움을 논할 수 있겠는가?  ( P47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12 17: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12 18:3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