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
야마구치 사키코 지음, 이수영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과거 80년대
시간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속독이 유행했던 적이 있다.
짧은 시간에 많은 가치와 이해의 효율을 추구하구자 독서에서 효과를 볼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를 인식한 교육과정이 ‘속독법’이었다. 크기가 커지는 점자책으로부터 단, 장문의 글을 보고 이를 인식, 이해 하는 것이었는데 교육에서 강조한 것이 있다. 상황과 조건, 내용의 관계는 불필요하고 단순한 행위들을 반복하면 자신도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고 말이다. 단 주의 해야 할 것은 자신의 마음속으로 한 글자, 한 글자 음독하며
읽지 말 것이며 글자나 문자를 점, 점으로 읽는 것이 아니다. 오로지
하나의 라인으로 보고 이것이 익숙해지면 대각선으로 읽어 라인을 눈대중 내려가며, 마지막엔 한 페이지를
하나의 사진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이다. 사람은 글자와 문자의 개별 인식에는 약하지만 하나의 장으로
인식하면 기억에 더 남는다고 강조 했던 방법이 ‘속독법’이다.
신기하게도
기억법에 중요한 방법, 책에서도 이야기 하는 것은 포토와 같이 사진을 찍고 문맥을 인식하며 기억에 남기는
것이라 한다. 단 우리나라에서 배운 속독과는 차이점이 있다. 책을
읽는데 대한 목적과 확실한 동기부여로 두뇌를 황성화 시키고 목차를 통한 내용의 파악과 일러스트의 활용, 키워드를
인식해서 문장을 읽는 것이다. 이처럼 목차나 문장을 미리 준비해 읽는다면 두뇌 암기에 좋고 키워드를
인지하면 문맥의 파악에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식해서 한 단어, 문장을 주의 깊게 읽으려 하고 이를 통해 이해를 하려 하는데 고쳐 읽는다고 단어에 집중한다고 이해가 깊어지지
않는다. 단순히 건너뛰고 한 문단을 통해, 한 섹터를 통해
이해하면 더욱 기억에 남고 흐름의 파악이 빨라지는데 이런 활성화 단계처럼 인지와 인식의 부분을 하나의 포토로 장을 인식하고 흐름을 이어간다면 기억에 오랜 남고 기억력을 향상, 활용에 이르는 확장을 시킬 수 있다고 한다.
관계, 단어, 연상, 이미지, 수식화, 도표, 그리고
제스쳐 등 다양한 방법을 거쳐 페이지를 남긴다면 효과적으로 남기고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단, 사진 찍듯이 페이지를 기억에 남기고 문맥과 흐름에 파악할 때만 말이다. 고루한
말일 수도 있지만 효과적인 시간의 활용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리딩과 기억에 다양성의 변화를 준다면 효율적인 공감과 같은 소통을 할
수 있으며 업무와 기억력의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