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적 초격차를 만드는 독서력 수업 - 읽고, 쓰고, 생각하는 공부머리 초등에서 완성하라
김수미 지음 / 빅피시 / 2025년 3월
평점 :

내 5학년
딸아이의 초등학교 수학문제.
아이가 실수하는 것은 급한 마음에 계산 과정이 틀려서도 일수도 있지만 보면 대부분 지문의 이해가 부족해서이다. 정확히 요구하는 바도 모르고 도형에 관련해서 서술형 문제가 나오면 공간감이 더욱 떨어지기 때문이다. 영어의 이해도 현재는 단어 수준이르지만 지문의 문맥상 추론하는 것과 수학 또한 출제자의 의도 파악이 우선하는
요새 교육에서 느껴진다. 그래서 개별 과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산도 중요하지만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은 문해력이라고 생각한다.
문해력은
쉽게 키울 수가 없다. 다독과 사고, 유추, 생각을 정리하며 말을 곱씹는 수 밖에 없는데 부모들은 아이에게 무조건 자신이 옳다 싶은 책을 읽으라고 권한다. 자신 또한 읽지 않으면서 막연히 읽으라고만 하니 아이들은 한글 공부처럼 한 번 읽고 끝내는 게 대부분이다. 그래서 답답함에 동네 학원에 보내 보지만 음독의 읽기만 생각없이 반복하기에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특이하게도 이런 니즈를 파악하듯 입시전문 대치동에서 책 읽기 수업으로 학업에 도움을 주는 학원이 있다. 초등학교 근처에서나 볼 법한 책 읽기만으로 아이들의 성적을 급성장 시켜주는 ‘논술화랑’의 대표인 저자. 26년 넘게 바른 책읽기를 권하는 것은 사고력의
바탕이 되고 텍스트를 통해 아이의 깊이 있는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흥미를 붙이는 과정과
틀린 오류를 수정해 나가며 읽기를 시켜 하기에 저자는 나이별, 단계별로 독서의 흥미와 이해를 넓이는
방법과 사소하지만 수정해 나가며 성장할 수 있는 독서법을 이야기 한다.
스스로
읽는 방법으로 읽는 습관을 형성시켜야 하는데 선행하듯 무작정 시키는 것은 역효과만 불러 일으킨다. 동화면
그림 동화를 같이 읽어야 하고 성장해도 비 문학 학습만화나 권유하는 것은 좋지 않다. 흥미를 붙이고
이해를 높이라고 하지만 정서와 자존감엔 진부하더라도 이야기책을 읽는 것이 좋다. 어릴 때는 음독을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소리 내어 읽는 습관이 없어진다. 아이가 속독처럼 눈으로 지나치는 것은 아닌가, 제대로 읽고 있는지, 활자의 파악과 이해의 정도는 정확한지 고학년이
되어도 음독하는 습관을 버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다음은 읽는 단계의 방향성이다. 지리, 인문, 사회, 경제 등 자신이 중요하다 생각하는 분야만 읽는 연습을 시키는 게 아니라 단계별로 시작해야 이해와 깊이가 넓어진다. 지리를 개념은 사회적인 사건과 역사의 발달, 그 과정에서는 정치, 경제는 어떻게 변화했는데 단계별로 시작해야 호기심도 깊어지고 이해의 폭도 아이의 관심도 넓어진다.
사교육의 일 번지라 불리는 ‘대치동’. 그 방법이 항상 옳고 정도에 가깝다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단기간의 아이가 성장하는 학습을 바탕으로 체계화를 구축하여 극성인 부모들이 없는 시간에도 찾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는 이기적인 교육법이 아이를 한계를 특정 짓고 속박과 더불어 더욱 작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사회에 나가서도 디지털 문화에서 필요한 문해력.
단계별, 나이별, 과도기별 그 시기와 과정에
걸맞는 교육만이 아이를 더욱 성장시키므로 그 시도와 방법이 어려웠다면 책을 참조해 아이 읽기 교육 통해 변화를 꿈꿔보길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