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차라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
여기서 자주 등장한 위버멘시. 정해 놓은 기준을 초월하고 한계를 극복하여
자신 본연을 넘어 최고 자신을 꿈꾸는 사람을 뜻한다. 창조를 위한 파괴적 인간으로 봐야 하나 아님 현실을
극복한 도전자로 봐야 개념이 엇갈리지만 창조자 보단 자신을 위한 더 나은 가치를 추구하고 주체적인 삶을 강조하는 사람으로 봐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근대에 와서 그의 말을 곱씹고 철학을 조명하려 한다. 왜냐면 그의 철학이 주는 메세지는 자기 삶을 개척하는
방법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개선된 더 나은 자신을 만들기 위한. 그래서 위버멘시를 바탕으로 책에서 제시하는 것은 시련과 고통에 대한 인식, 수용이
자세, 마인드이다. 사람에게 극복하고 나아갈 수 있는 만큼의
고통만 준다는 시련, 자기 중심으로 극복해야 어떻게 자신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지 말하고 있다. 관계와 감정, 관계속에서 사회적존재인 자아를 깨닫고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는 단순 선악의 기준이 아닌 관점과 철학의 차이에서 말이다.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이해의 시선을 말한다. 이것이 누구의 기준인 것인가 절대적인 관점에서 말하는 것인가 왜 나의
삶에 영향을 미치어 나의 크기를 한정 짓게 만드는가 말이다. 니체는 삶에서 마주하는 고통, 공감과 같이 마주하는 감정표현의 얼굴, 그리고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삶을 논한다. 허무주의적 인간을 넘어 초월하는 존재와 같이.
책은
113개의 단편적인 철학으로 인생을 논한다. 가벼워 보이는
단문이지만 삶의 지혜와 성찰해 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있어 마음의 울림은 깊고 인생 철학적면에 숙고하게 한다. 나에게
가장 감성 깊게 다가온 것은 ‘꿈에서도 도망치지 마라’. 꿈은
현실의 도피가 아닌 우리에게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이해를 묻는다고 한다. 꿈은 안식과 도피의 대상이
아닌 현실로 이어지는 개선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삶에는 도덕이 필요할까? 왠지 인생을 억압하는 과정과 같지만
이것은 룰을 지키기 위한 억압이 아니라 자유롭게 살아가기 위한 방편이다. 의무를 넘어 자신을 넘어서고
더 나은 자신으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 도덕을 부정적으로 보지 말고 그것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길 책은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보는 공감의 의미. 공감은 사람들 자신을 희생하며 타인을
이해하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공감은 희생이 아닌 자신을 지키며 나누는 것이다. 따라서 타인의 이해ㅗ에 앞서 자신이 중심을 세우고 내면을 단단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이해도 따듯함도 배가 되기에 말이다.
누구에게나
주어지지만 다른 상황과 배경의 고통.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극복 하느냐에 따라 목표가 달라지고 삶이
변할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안과 공감이 아닌 끊임없이 한계를 뚫고 나아갈 수 있는 ‘위버맨시‘
인간상의 표방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