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 - 디지털 시니어의 탄생
고려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외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도 불구하고 시니어 세대의 소비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처럼
청년층이 많은 소비를 할 것이라 예상들 하지만 실제로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높은 구매력을 보이며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시니어 세대’이다. 실제로 50대이상이 카드사용량이 20-30보다는 높다는 통계치가 나왔으며
소비의 패턴 또한 젊은 세대의 과거와 틀린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시대의 전환점 시니어들의 소비
시장을 읽고 트렌드를 이해해야만 생존과 더불어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노인 1,000만의 시대가 도래했는데 사람들의 인식은 과거에 머물러 있다. 실버
세대로 인식하며 은퇴와 더불어 안식기를 보낼 것이라 생각하지만 100세 시대에 건강을 바탕으로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며 살아가고 있다. 젊은 세대들이 부동산, 취업, 학자금 대출과 같은 부채에 생활고에 힘들어하지만 이들은 국가발전기에 많은 부를 창출하고 부동산과 자산, 연금, 안정적인 소득을 올리고 있다. 또 과거와는 틀리게 자식에게 모든 것을 물려주기 보단 건강, 여가, 라이프스타일에 적극적이어서 자신에게 돈을 아끼지 않는다. 그래서 50대 이후의 세대들은 욜로와 요노가 혼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성향을 보이고 있다. 자신을 위해 아끼지 않지만 경제관념으로 필요한 것만 소비한는 DIY 형태가
축을 이루고 있다.
시니어들은
디지털 문맹이다? 이것도 잘못된 인식이다. 과거에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이들은 자신의 일에도 헌신적이었지만 발전을 위해 배움에도 능동적이었다. 신문물에
대한 거부감은 없고 IT국가 트렌드에 맞게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배움에도 적극적이다. 심지어 유튜브,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디지털 라이프를 즐기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자신의 소비를 가치 있게 만들고 있다. 50대 이상의 온라인 쇼핑 비중은 소비의 30%가 넘는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책은
마인드과 구매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는 시니어 트렌드를 이해 못하면 비즈니스 기회를 놓치고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라 말하고 있다. 이들은 디지털에 익숙해져 검색과 구매를 동시에 하고 온라인 금융에 익숙하여 스마트폰으로 자산관리가 가능하고
비대면 진료와 웨어러블을 통해 자신의 건강관리를 한다. 검색과 자료수집으로 여행을 준비하고 가상현실 AR/VR을 통해 집에서도 가상현실로 여행을 즐긴다. 교육과 배움을
뜻을 두고 온라인을 통해 평생교육을 실천하며 퍼스널 컬러와 같이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을 추구한다. 팬덤을
형성하여 자신들의 즐거움 충족하고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커뮤니티의 형성과 참여에도 적극적인 것이 현 시대의 시니어이다.
사회, 인문학적으로 특성으로 인해 새롭게 떠오르는 시니어 세대.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비로 생산성 향상을 꿈꿀 수 있고 저 출산으로 인한 국가 소멸론 에도 대처할 수 있다. 특색
있는 소비자로 부상하는 시니어들, 트렌드와 현실과 시니어의 차이를 파고들 수 있는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다면 비즈니스에서 무한한 가능성과 더불어 성취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