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날 모든 장소
채민기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지나치고 생활하는 일상적인 공간들.

반복적인 일상에 별 다른 의미 없이 지나치기에 모르지만 이것들을 우리의 정서와 문화 형성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단순한 건축물이지만 묵시적인 사회적인 평등을 요구하기에 지켜야 하는 것 같기도 하고 몰랐던 인식 규범을 강요하는 것 같기도 하다. 친근하며 편안하게 다가오는 것 같은 공간과 건축, 그들에 의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길들여져 간다.

 건축기자인 저자가 보는 건축물과 공간에 대한 언어와 이해.

저자는 1년간 언어도 문화도 다른 미국에 이방인으로 방문하게 된다. 근데 미국은 다민족국가인 만큼 공간과 건축물은 유연하기만 하다. 이방인이면서 한 아이의 보호자로 같이 방문하게 되는 미국인데 낮 설고 보호해야 의무감에 더욱 두렵기만 할 것이다. 하지만 친화적인 건물과 공간에 경계감은 무너지고 오히려 합리적인 그들의 문화에 심취하게 된다. 그리고 깊이 이상의 사고를 하다 보니 현실 한국 건축물과 공간에 대한 라는 의구심만 남게 된다고 한다. 사용자를 위한 건축물이어야 하는데 획일적인 틀에 찍어내는 건축물들이 편협한 고정적인 사고의 사람들만 만드는 것이 아닌가 말이다.

 저자는 건축 기자로 건축물의 다양한 특성과 이해를 책에 담아내려 했다. 하지만 같이 간 딸의 육아도 책임져야 하고 혼자서 많은 경험을 쌓게 도와줘야 하는 만큼 육아일기가 되는 것 아닌가 걱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를 돌보며 아이의 눈높이와 시선에서 관점을 달리할 기회가 되었고 그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흔히 지나치는 학교, 도서관, 놀이터에 건축물에서 접근을 달리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사면이 틀로 박힌 아파트속에 학교가 있어야 우리는 거주의 관점에서 좋다고 생각한다. 소위 말하는 아파트 속의 초품아’, 사면의 막힌 공간에 복도식, 군대 같은 건축물은 평등을 외치며 주입식 교육, 비슷한 인성의 형성 한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의 학교는 자유로운 디자인에 지역사회와의 연결하는 건축물 형상을 띄고 있다. 로드가 주말이면 농산물 장터, 사람들과 소통하는 공간, 학교에서 배우고 볼 수 없는 값진 경험의 공간으로 거듭난다고 한다. 틀에 박힌 책의 진열과 빼곡한 책상배열, 미국의 도서관은 자유롭게 방문하고 문화프로그램이 많이 참여할 수도 있고 딱딱한 책상이 아닌 빈백과 같이 앉아서 편하게 책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공감의 아낌의 없이 구석구석까지 활기를 전하는 것이 미국의 도서관이라고 한다. 넓은 면적에 의무감으로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놀이터는 형식인 기구, 안전을 위한 바닥만이 있다. 하지만 미국의 놀이터는 같은 동네라도 셀 수 없을 정도 많으며 바닥은 흙이고 미끄럼과 기구의 스케일은 크기만 하다. 주변에서 지켜볼 수 있는 벤치와 테이블이 있어 주말에는 바비큐와 같이 가족들 모임을 갖고 지역주민들은 소통하며 서로의 정보와 즐거움을 나눈다. 스케일이 틀린 땅 떵어리인 미국이라 가능하다 하겠지만 그들의 의식과 문화, 정체성, 사회적 인식이 만든 결과이다.  

 저자는 공간이 삶을 규정하고 우리의 인식을 구성한다고 한다. 모르고 지나치지만 돌이켜 보면 획일적인 편향을 구조물이 고착 시키는 것 같다. 그렇다고 부정을 갖고 삶을 회고하며 보길 바라는 것인 아니다.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 자신의 부족한 모든 것을 인지하고 적합한 생활 방식으로 자신만의 장소를 찾아 성장할 것을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