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주론 인생공부 - 보고 듣고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의심하라
김태현 지음, 니콜로 마키아벨리 원작 / PASCAL / 2025년 1월
평점 :

많은 비즈니스, 정치, 사회 조직 리더들이 <군주론>을 읽는다. 그들이 택하는 이유는 누군가를 합리적으로 통치하기
위해서 보단 냉철한 개개인의 이해와 조직 구성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이다. 통제의 정치를 넘어 현실을
직시하고 어떤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오늘날에도 읽혀 지는 <군주론>, 리더를 꿈꾸더라도 리더가 아니 라도 불확실성의 미래 서로만의 이해가 들끓는 시대의 우리가 꼭 읽어야만
하는 이유이다.
통치, 군주 거창하게 생각할 것 없다. 외교의 기본은 무엇인가, 서로가 입장차이를 극복해 우위를 점하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협상이다. 그럼
사람들 사이에서 대화를 통해 소통하는 것은 왜 인가. 자신이 의지를 피력하고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며
원하는 것을 얻으려는 일환의 설득방법이다. 비교 대상들은 목적과 스케일은 다소 다르지만 그 근본에 이르는
맥락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사회적 동물로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자신의 입장을 세우고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인간 이해의 바탕, 모종의 지략과 같은 <군주론>은 시대를 넘는 통찰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다.
“목적을 위해 수단이 정당화 된다.”
분열되고
고통받는 백성들의 시대, 그들의 요구가 아닌 시대는 원하는 것은 이 모든 것을 종결 시킬 강한 군주였다. 그래서 마키아벨리는 시대가 요구한 리더는 아니였지만 많은 역사서와 인물서를 통해 통찰하며 시대에 부합하는 이상의
군주를 말한다. 물론 빛과 어둠처럼 반대되는 모습의 인간상이 펼쳐질 순 있지만 이상적인 군주라면 이
둘 다를 행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부정적인
면, 일에 실리는 취하고 좋은 것은 자기가 행해야 한다. 약속은
지켜야 하지만 자신의 입장에서 불리하면 취하하고 악으로 돌아서야 한다. 자신의 거짓말은 선의의 거짓말이므로
정의라 할 수 있고 너그럽게 대처하면 기고만장하니 적당히 규제해야 한다. 군주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지배를 위해 공포심과 내분을 조장, 자유를 생각할 시간을 없게 만들어야 한다. 피해에 대한 복수는 잔인하고 대들지 못하게 보복해야 한다.
긍정적인
면, 과거를 공부하고 답습하며 평화로운 시기에도 근면하게 다가올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민중을 억압하데 증오를 받지 말고 사람을 선별해서 선택하데 부적절한 이들을 피해야 한다. 적은 내부에 있음을 명시하고 항상 경계하며 외교에선 중립적 입장으로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 한다. 그리고 군주는 사나운 용맹과 여우의 교활함을 갖춰야 한다.
잔혹하고
폭력적이지만 증오는 피하고 미움은 다른 이에게 전가시키는 군주. 이기적이며 자기 중심적이다 할지도 모르지만
춘추전국시대 많은 사상가들이 이상적인 군주는 이런 요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했다. 나라를 위해서는
도덕적이지 않고 실리만을 추구해야 한다는 마키아벨리, 중국의 사상가들과는 통일전과 집권후의 사상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우리에게 권력자의 속성을 이해시켜주고 있다. 자신의 기득권을 위해 행하는 정치와 사상이
만연한데 우리의 인생에서도 자신의 기득권과 이권을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시대를
넘는 <군주론>은 그들의 속성에 대한 이해로 행동
방향성을 알려주기에 그들에게 우리의 이해와 인식이 휘둘리지 않게 일깨워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