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다나카 유이치 지음, 이성희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자신의 강점을 이야기 해보라면 나만이 할
수 있는 특기, 남들보다 우월한 능력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 하는 것도 극소수일 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자랑할 만한 강점이 없다고 말한다. 이는
개인적인 관점에서 타인과 비교하여 능력 크기의 정도가 다른 것을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점은
단련되고 갖고 태어난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변화하며 잠재력을 이끌어내 자신 기반의 문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며 성공과 부를 꿈꾸는 우리는 자신의 강점을 바탕으로 그 꿈을 이루려 한다. 그래서 조직에서 강점이라
생각하면 업무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일 머리 등을 생각하며
찾아내려 한다. 그런 것을 파악하기 위해 자기 분석과 강점 진단을 거듭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강점을 찾을
수도 없고 살릴 수 있는 수단으로 거듭나지는 않는다. 그래서 조직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조직이란 작은
비즈니스사회에 기반하여 자신의 강점을 찾아 봐야 한다.
비즈니스는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닌 타인과 하는 것이다. 상대의 니즈를 파악하여 결론을 도출하고 대화를 통해 협업을
이루어 내며 타협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세우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그 기준을 ‘자신’에게 맞추고 있다. 자기를
중심에 두고 강점을 찾으려 하기에 찾기 딜레마에 빠지며 자신의 강점파악도 못하는 것이고 물론 성과를 내지 못한다.
그래서 책에서는 강점에 찾기에 앞서 ‘당신의 일을 평가하는 것은 타인이다.’를 명심하길 강조한다.
소심과
스펙 또한 저조했던 저자 또한 자기중심점 관점을 버리고 상대 중심에서 필요한 것을 해주었기에 직장내에서 기회가 늘어났다고 한다. 자신이 잘하며 단순히 타인이 하기 어려워하는 일을 해주었을 뿐인데 자신의 일머리와 업무능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조직에서도 인정받기에 이른다. 나아가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살펴보니 자신의 강점으로 승부하는
사람들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았으며 평범한 사람들은 묵묵히 타인의 니즈에 맞춘 업무를 수행 서포트하는 사람들이 많게 되었다고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강점은 요소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상대적인 것이라 한다.
강점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5원칙.
-목표를 정리한다.
-상대 축을 정리한다.
-경쟁자 축을 정리한다.
-자기 축을 정리한다.
-‘진짜 강점’을 만든다.
책이
강점을 찾아 헤매며 계발하려는 이들에게 유용한 것은 단순한 원칙과 강령아래 행동을 말로 정리할 수 있는 워크시트를 통해 이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화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축을 확고히 하며 워크북식으로 자신을 평가 글로 정리를
하고 축 간의 교집합을 발견하게 해준다. 이것을 연마할 때 자신이 잘하는 강점이 되고 일의 의미를 통해
성과, 성공을 향하는 경험을 쌓을 수 방법을 말한다. 사람들이
오해하는 강점, 세상의 편견과 기준에서 카리스마형의 강점을 찾기보단 타인과 자신의 차이를 받아들이며
상대를 도와 원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시키는 습관이 자신의 강점이 될 것이고 성공에 이르게 할 것이라 책은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