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지충의 만화로 보는 동양철학 7 : 손자병법 - 병서의 바이블 ㅣ 채지충의 만화로 보는 동양철학 7
채지충 지음, 이신지 옮김 / 들녘 / 2024년 12월
평점 :
오랜 역사의 고대 중국, 그리고 끊임없는 분쟁으로 전란이 빈번했던 시대.
과거 주나라는 견융족에 의해 도읍을 옮기자 제후를 통치하던 봉건제는 약화되고 제후국들은 각자 생존을 위해 군사력을
강화했다. 이로 인해 중국은 주나라라는 허울 아래 갈가리 쪼개지고 춘추 전국 시대로 이어져 천국 칠웅으로
재편되기 시작한다. 그렇게 살아남은 진, 초, 조, 연, 조, 위, 한. 일곱나라가
패권을 위해 싸우지만 결국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기에 이른다. 군주의 치덕만이 통일과 태평성대를 이룰
수 없던 시대, 무엇보다 강조된 것은 무력이었다.
고전이지만
현대에서도 많은 지도자들에게 읽히는 중국의 병법서들. 그 높던 무경칠서 중에서도 으뜸으로 쳐주는 병법서가
있었다. 바로 손무의 저작 ‘손자병법’. 공세와 세력확대를 중점으로 수성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공격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손무에
의해 13편으로 쓰여졌으나 다양한 사람들의 각색이 되고 오자서의 병법과 함께 <오손자병법>, 손무의 손자인 손빈의 <제손자> 그리고 조조의 주석본에 의한 <위무주손자>등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래도 지금에 와서 많이 읽히는 것은 손무에 의한 손자병법으로 80편이
넘는 다른 이들의 병법서와 달리 13편만이 함축적으로 현실적인 전쟁에 맞기 때문이다.
책은
만화로 이해하기 쉽게 군사와 전략의 묘미, 싸움에 대한 진수, 어떻게
굴복시키는 것이 진정한 승리인지 ‘손무’의 병법에 맞는 전략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 시계편에서는 다섯가지 원칙으로 보는 치밀한 기획성, 작전편에서는 지구전을 통해 보는 국가경영의 이로운 전략, 모공편에서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성공에 대한 철학, 병세편에서는 기세를 만드는 상황에 맞는 전략의 변화, 허실편에서는 상대를 속이고 주도하는 용병술, 군쟁편에서는 시황에
맞춰 갖춰야 할 자세와 군략, 구지편에서는 사람을 부리는 용인술, 용간편에서
전략과 첩보 정보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군력과 정세, 민심, 군주의 용단 등 다양한 지리적 요건들로 병법에서 전략을 말하지만 용간편이 제일 쉽게 다가온다. 첩보전의 중요성을 말하듯 적재적소의 첩자를 말하는데 사람을 쓰는 방법과 기준 다스리는 지휘관으로 자세를 만화로
설명하고 있어 방법과 활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섯개의 사용 방법으로 나뉘는 첩자 향간, 내간, 반간, 사간, 생간. 정보를 통해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 어떤 전략과 포지션으로
싸움의 없이 제스쳐만으로 승리할 수 있는지 말하기에 중요성과 필요성이 확고히 느껴지는 병법편 이었다.
중국을
넘어 많은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고 참조하는 전략실천서 <손자병법>.
전쟁과 같은 일이 없는데 필요성이 있냐 묻겠지만 작은 전쟁의 축소판인 우리의 삶에 헤쳐 나갈 통찰력을 더해주기에 두고두고 읽어야 할
고전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