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스 고딘의 전략 수업
세스 고딘 지음, 안진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략이라 하면 기업이나 조직을 운영하는 사람들만의 전유물로 생각되는 게 일반적이었다. 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극복 위한 가용행동 범위내 접근방법을 추진하는 것으로 역량과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 구조적인, 조직 구조직인 시스템내에서 전략이라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는 현대에 와서 조직을 넘어 개인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합리적이면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듭나고 있다.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고 목적에 단시간내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명확한 목표가 있을 때 전략은 개인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그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조직과 달리 개인이 전략을 수립할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명확한 목표이다. 그 목표 안에 성취해야 하는가 라는 수립 목적이 있어야 개인에게 경험과 결과가 축적되기에 목표를 확실히 해야 한다. 그리고 목표에 달하기 위한 문제들을 도출해 내야 한다. 문제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해결이 가능한데 문제를 도출해야 우선순위가 보이고 이것이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된다. 이런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본 도서 저자인 <세스 고딘> 4가지 요소를 고려해야만 우선순위의 목표와 어떻게 세부적으로 구체화하고 실행 할 수 있는지 말하고 있다.

구조화된 틀과 형식을 바꿀 수 있는 레버리지 (시간)을 활용하고 가변적인 (게임)처럼 능동적,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체가 되어라. 감정의 (공감)이 아닌 타인의 객관적인 이해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의 욕망을 거스르지 말며 협업을 추구해라. 서로의 가치관과 문화는 (시스템)이란 틀 안에 존재하므로 서로를 이해와 존중으로 살피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라.

전략은 내일을 개선하기 위해 오늘 무엇을 할 것인지 선택하는 힘든 작업이다. – (p.62)

관습과 관료 중심의 문화 나라 대한민국. 우리는 시스템이라는 형태속에 개인의 창의성은 누르고 자신의 변혁은 시도조차 않으며 살아간다. 그것도 경제, 교육, 정치, 문화 등 다양한 면에서 말이다.

이제는 <전략>을 통해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자신의 목표와 통찰을 연결하고 모든 가용수단을 동원해 틈새를 만들며 그것을 증폭시켜 상황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그러기 위해선 누구를 위해 일하고 우리가 무엇을 위해 일하는지 어떻게 나아가고 구체적으로 자신을 내세울 것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러기 위해선 자신과 목적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방향성, 이를 준비하며 보강해가는 모든 과정이 조직과 사회 뿐만 아니라 자신도 바꿀 것이라 책은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