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이라는 중독 - 불안한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토머스 커런 지음, 김문주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9월
평점 :
타인들의 기준과 강요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생각했던 결과에 부합하지 못하면 실망하고 좌절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완벽주의자라고 한다. 매사
완벽을 추구하며 과도한 성취지향을 해서 나타나는 것인데 이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강박성 성격장애라고 불린다. 그런데
웃긴 것은 이들의 완벽은 결과, 성공과는 무관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강박성
성격장애와 강박장애는 성격을 완전히 달리 한다. 강박장애는 행동에 완벽을 추구한다면 강박성 성격장애는
자신의 성격에 강박을 추구한다. 전자는 주변의 사물이나 의식, 행동에
강박을 보이지만 강박성 성격장애는 주변 사람들을 상대로 강박을 보인다. 혼자만의 추구가 아닌 타인에
의해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강박성
성격장애를 벗어나고 싶다면 우리는 그 원인이 환경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가 의심해 봐야 한다.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시대의 트렌드나 주변의 인식이 우리를 완벽해야 살아남고 사랑받는다 강요하는 하나의 문화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SNS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좋아요’ 같은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해
페르소나와 같이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사람들, 업무의 추진이라지만 자신의 방식이 완벽하다는 인식에 강요를
하는 사람들 등, 책은 이런 완벽주의자들을 3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완벽주의 같은 행동을 보였던 유명인들과
대처를 통해 말하는데 스티브 잡스가 ‘타인지향 완벽주의’ 였다고
한다. 완벽을 넘어 결벽을 외치듯 타인에게 불가능한 기준을 적용해 화를 내고 타인과 싸우며 늘 호전적인
자세였다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은 그 정도는 아니고 심하지 않다고 안일하게 생각한다. 그렇지만 인스타와 페이스북을 들여다보며 타인과 비교하는 당신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열등감을 느끼며 불안과 좌절을 경험한다면 극단적이지만 자살로 이룰 수 있다고 암시하며 주의할 것을 권하고 있다.
자신의
성취나 성공을 위한 완벽이 아닌 사회 도처에 편재된 이상과 의식을 지향하면 사람들은 완벽주의자로 잠식된다고 한다.
병폐와 같은 욕구와 집착을 벗어나 마음 다잡고 진정한 자신의 인생으로 행복을 향하고 싶다면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생활과 사고를
개선할 것을 책은 말하고 있다. 행복은 인간다운 삶은 타인과 세상의 기준이 아닌 오롯이 자신의 기준과
인식만이 그 가능성을 펼치게 해주기 때문이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