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녕가
이영희 지음 / 델피노 / 2024년 8월
평점 :
역사서의 기록되지 않는 단어 ‘화냥년’.
우리는 자신의 몸을 함부로 하고 더럽혀진 여자를 말할 때 욕과 같이 ‘화냥년’이라는 단어를 쓴다. 유교적 관습에 가부장적 발상이 아닐 수 없지만
여자는 자신의 정조를 절개를 지키지 않으면 수치라고 생각하는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역사서에도 기록되지
않는 단어, 병자호란에 청나라로 끌려갔다 돌아온 여인들을 ‘환향녀’라 했고 이를 화냥년이라고 불렀다는 게 후문이다. 하지만 그들이라고
해서 그러고 싶어서 그랬던 것일까. 나라의 힘이 없음과 민중의 계몽 같은 자각이 부족했음을 탓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화녕가>는 근대화 이전 억울한 삶을 살았던 여주인공의 비애를 담고 있다. 마치
의도치 않아 절개를 더럽힌 것처럼 묘사되는 ‘환향녀’와 같이. 일제 강점기 시대 화녕의 일생은 부모도 버리고 나라에 대한 충정도 없이 일본인의 비위를 맞추며 살아가는 인물로
묘사된다. 더구나 음대를 나와 성악을 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노래하는 여성이라 하면 사람들은 술집에서나
창을 하며 삶을 연명하는 비천한 사람들로 생각하는 게 시대상 이었다.
도쿄음대를
나온 최초의 여류 성악가 윤심덕을 롤 모델로 가수를 꿈꾸는 소녀 화녕. 하지만 조선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의 죽음에 모든 것이 무너진다. 아버지 처형 시 일본노래를 부르고 천황폐하 만세를 외치면 고통
없이 죽음에 이르게 해준다는 일본군의 제안에 화녕은 수락한다. 뒷거래를 모르는 사람들은 그녀를 욕하고
그녀를 위해 희생한 유모 위해 일본군의 술자리에 불려 다니며 노래를 한다. 하지만 진주 헌병대장은 그녀를
욕보려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그의 아들인 킨타로, 현성이 그녀를 도와 주려 한다. 진부 제일가는 부자 남초시 집의 손자 인서와 손녀 인예. 그들의
화녕의 운명에 개입하게 된다. 어릴 적부터 화녕의 노래를 듣고 그녀를 암암리에 돕는 인서, 이 관계를 질투하는 배다른 동생 인예. 노래가 좋아 노래만 생각했던
화녕은 그들과 엮이며 마음의 안주를 찾기도 전에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
자유와
꿈에 대한 열망, 사랑을 찾으려는 소녀의 삶에 당시의 시대는 왜 그렇게 핍박과 시기, 질투, 욕망으로 점철되어 희생해야 했나 소설을 통해 되묻고 있다. 현재에도 남는 노래들이 모든 욕구와 열망을 표출하듯 가요에 대한 구성과 작사가 인생의 빛을 주는듯 하다. 한 줄기의 빛이 되었던 노래, 시대상 그것을 부르던 이유는 민족적
의미의 애증과 사랑은 담은 한의 표출이 아니었을까 노래를 음미하며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