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정원 - 자연이 그랬어, 마음을 보라고
한성주 지음 / 북코리아 / 2024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7/pimg_7547062464351574.jpg)
20세
중반, 다양한 작품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르만 헤세.
많은 작품으로 우리에게 친숙하며 감수성 깊고 영적인 부분이 충만하여 성장하는 청춘들의 고뇌를 노래하고 휴머니즘
작품을 지향한 것 같지만 의외로 그의 과거는 불안과 고통, 고뇌에 얼룩진 과거를 가지고 있다. 신학교를 중퇴하고 자살기도를 했으며 학교에서도 퇴학, 공장에서의
노동, 세계대전으로 인한 이념의 갈등 등으로 절망과 좌절, 방황의
어린 시절을 겪었다. 이런 그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 것이 있었으니 그 시절 만난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과 바로 ‘자연’이었다.
헤세는 집안에 늘 자신의 정원을 가꾸며 자연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회복했다. “씨를 뿌리고
수확하는 순간에 인간만이 자연의 순환에서 제외되는 것이 이상하다, 무언가를 소유하려는 인간의 의지는
기이하게 여겨진다.”라고 하였으며 정원을 통해 심신을 치유하고 풍부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많은 작품을
남길 수 있었다고 한다.
도도하고
이지적이었던 미스코리아 출신 방송인 한성주. 정치를 전공을 바탕으로 전문 사회, 교양 방송인이 될 것 같았으나 그녀는 우연치 않은 기회에 원예치료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심리상담사의 길로 전향하며 30년간 사회봉사활동가로 현장일선에
뛰고 책을 출간하게 된다. 그런 그녀가 불안과 좌절의 현대인에게 ‘마음
정원’을 통해 묻고 있다. 당신은 현실은 불안과 피로로 얼룩지지
않느냐고, 왜냐면 자신의 욕망으로 인해 자신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일에서 완벽을 추구하고 그 책임을
자신에게 전가 시켜 그렇지 않느냐고 말이다.
정신분석학자
에릭 에릭슨은 현대인이 자아정체감의 혼돈을 겪고 고통받는다고 한다. 자아의 상실 혹은 자아의 과잉으로
인해 자신이 누군지 잘 모른다고 한다. 과도한 SNS의 노출에
부캐와 페르소냐로 현실의 혼돈, 과한 정체감의 혼돈이 아니냐 말하기도 하지만 인터넷이 탄생하기 전에도
이런 일은 존재해 왔다. 사회적 역할과 자신의 상황의 혼돈이 그 예인데 이는 과잉된 자아로 상황의 분리가
안되었다. 정체성 부족, 인지부조화 뭔가를 포장하고 보여야
하는 사회, 이상과 현실의 간극으로 인한 괴리감. 언젠가부터
현대인은 캐릭터의 즐거움이 자신의 즐거움이라고 생각하는 공허한 인생을 살아오게 된다.
이런
현대인에게 그녀가 제시하는 솔루션은 손님의 눈으로 한 발 물러서서 바라보는 객관적인 시선이다. 현재에
충실하며 과거나 현재의 자아를 왜곡하지 않는 것. 그리고 심적인 안정과 건강을 더하기 위한 원예치료이다. 치료자, 대상자, 식물을
포함하는 원예활동으로 심신의 건강한 활동을 장려하는 것이다. 식물을 사람처럼 인식하여 구명활동과 같은
사명감으로 적극적으로 문제를 파악해 사람들과 공유하며 해결방법을 찾고 상황과 대상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용하여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이다. 과거엔 대상자가 정신질환자에 국한 되었지만 급격한 도시화로 현대인, 일반인
또한 그 대상이 되고 있다. 과거 학술에서 원예활동을 통한 대상자와 치료자의 공감과 교감이 현대인의
불안과 좌절부터 벗어나게 해준 사례가 많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타인으로 인해 흔들리고 상처 받는 것은 잘못이 아니라 하나의 물리적 현상이라고 한다. 그래서 상황을
타계하고 싶다면 자신에게 일어난 팩트를 직시하고 통찰, 자각하라고 말한다. 그래야 남들에게 흔들리지 않는 자기중심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감각과 인정, 치유의 충만함에 자연과 함께하는 듯한 원예가 도움을 줄 것이라 책은 말하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7/pimg_7547062464351575.jpg)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제공 받아 작성한
솔직 북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