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젠더를 바꾼다는 것 - 트랜스젠더 모델 먼로 버그도프의 목소리
먼로 버그도프 지음, 송섬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트렌스젠더 ‘먼로 버그도프’.
코스모폴리탄 영국판 편집장 클레어 호지슨은 먼로 버그도프를 ‘선구자’라고 지칭했다. 사회적 편견과 혐오속에 사회적 약자의 인권과 평등을
위한 목소리를 냈다고, 그것도 트렌스젠더로 뷰티 브랜드 로레알로부터 신제품 캠페인 이벤트 참여 후에
말이다. 그 이벤트후 여러 유명잡지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성공가도에 오를 것 같은 그녀는 소신 있는 흑인인권
목소리에 로레알은 손절하고 사람들은 지탄하며 성공은 멀어지는 듯 했다. 하지만 끝까지 자신의 소신을
관철하고 사회적 편견을 누그러뜨리며 성공까지 붙잡게 된다.
사람은
누구나 트랜지션을 한다. 아이에서 어른으로 미숙에서 성숙으로 변화하듯 당연한 과정이다. 하지만 트랜지션 도중 비자발적 정체성에 노출된 이들이 있다. 부모, 가족, 사회, 공동체의
의식과 관점이 자식의 정체성을 결정짓는데 성별로 생식기로 사람의 방향을 확정하고 정체성을 확립시키려 한다. 남아는
로봇을 갖고 놀아야 하고 하늘색위주의 옷을 입어야 하며 여아는 공주인형놀이와 분홍색만을 입혀야 한다는 편견처럼 말이다. 저자 또한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강요하는 시대와 사회적 요구에 의해 저자는 혼란을 겪게 된다. 더불어 인종차별까지 포함해서 성을 넘어 인종에 대한 정체성도 혼란이 온다.
백인
영국인 엄마와 자메이카 출신의 아버지. 조용한 시골마을에서 저자의 가족은 목가적인 생활은 불가능했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말이다. 사람들과 마주해서 지나칠 때면
사람들은 지갑을 꽉 잡고 지나가고 싸움은 구경만해도 이들이 선동하고 주범인 것처럼 취급된다. 더구나
자신의 여성적인 취향을 드러낼 때 친구들은 놀리고 왕따를 만들었으며 가족들은 부정하고 자신들의 생각과 관점만을 강요했다. 발레와 댄스가 좋던 아이, 의사표현과 자세도 자신의 취향대로 하고
싶었지만 사람들이 잘 못되었다 질책만을 보냈다. 특히나 청소년에 접어들며 혼란스러워 할때 올바른 성교육과
지식을 가르치는 사람은 없었다. 오로지 티비와 음란물이 전부였던 것만큼 저자의 성에 대한 가치관은 삐뚤어지고
그 속에 방황하게 된다.
자신이
남과 다름을 인정받고 한 여성이 아닌 사람으로 사랑받고 싶었다. 하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호기심과 다른
성적취향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자신을 찾으려다 육체적관계로 정신적으로 어긋나게 된다. 술과 마약으로
방황을 하다 자신은 같은 성별을 사랑하는 게이가 아닌 정신적인 여성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다. 흐르몬
요법과 수술로 여성에 가까워져 차차 안정을 찾는 것 같지만 남녀, 정체성 구분없이 사랑할 수 있는 범성애자임을
깨닫게 된다. 그렇게 많은 고통과 고민, 그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며 자신을 이해하는데 3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앞서
로레알과의 싸움에서 저자는 모든 것을 잃는듯 했다. 협박, 살인, 강간 등 다양한 사람들의 질타속에 신념에 걸친 한 목소리로 그녀는 로레알의 사과를 받고 원하는 바를 성취했다. 책은 다양한 퀴어에게 말한다. 신념과 목소리가 이끄는데 살아가야만
인정받고 원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다고 그게 자신을 향한 사랑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