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 동화 여주 잔혹사
조이스 박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우리가 읽어 왔던 동화는 환상동화이다.

우리 내부의 갈등과 소망을 초자연 도구와 존재로 풀어나가며 대리만족과 같은 쾌감을 제시하는 동화로 어린이들은 모험을 하며 사건을 해결하고 기사는 공주를 구출하며 마녀는 벌 받듯 권선징악과 인과법칙을 그리고 있다. 동화는 재미와 흥미라는 요소로 현실세계를 이해하는 통찰력을 갖게 해주지만 틀에 박힌 사상과 가부장적인 역할, 시대가 요구하는 성별의 이해를 내포하고 있어 편향적인 관점과 이해를 제시했다. 책은 더 나은 나로 만들어가는 매개체로 걸맞는 생각과 행동을 만들어줘야 하지만 오히려 동화는 틀에 박힌 관점을 갖게 한다. 동심으로 접한 이야기에 현실의 잔혹함을 말하는 것 같지만 이제는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복합적으로 들여다 보는 이해가 필요하다.

 백설공주는 우리에게 어떤 동화인가.

검은 머리에 백옥 같은 피부, 피처럼 붉은 입술, 조각 같은 외모. 당시 시대상은 고분고분한 여자의 삶을 원하듯 백설공주의 어머니인 여왕도 이런 아이의 모습을 원했다. 하지만 이는 자신의 욕망이 아닌 남성들의 대중적인 욕망을 대변한다. 누구나 꿈꿔온 이상적인 모습, 그에 맞는 아기를 갖고 싶어 여왕도 가부장 사회에 순응하는 여성이다.

 백설공주는 계모의 미움을 받다가 죽고 유리관에 전시된다. 그 유리가 귀한 시절 대형 관처럼 사람을 전시하다니, 트로피나 박제처럼 간직하고 사랑이라 슬퍼하는 일곱 난장이의 애정은 과연 아름다운 것일까. 왕자가 살린다고 하지만 왕에게 양도되듯 그녀를 넘기는데 비극인 상황에 여성들은 황홀한 듯 도취하고 동경한다. 자신이 자본과 권력의 상징이라는 왕자에게 구출 되는 꿈을 바라면서 말이다. 아름답고 순수하기만 니즈를 충족하는 동화인가..

내면이 바뀌면 영웅이 된다.

일본 애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소녀가 숲으로 들어가는데 터널을 통과하게 된다. 이는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현실과 반대쪽인 이상한 세상, 전학을 가서 흔들리는 소녀의 마음을 말한다. 선과 악의 양분된 할머니 유바바와 제니바, 괴물이 되는 가오나시 이들은 소녀의 마음을 대변하고 있다. 가오나시는 치히로의 결핍으로 먹어도 모자른 욕망인데 가오나시를 갈무리 하면서 내면은 안정을 찾는다. 하쿠의 존재가 고하쿠 강의 신임을 알게 되면서 내면에 깃든 존재임을 알고 이름을 찾을 때 치히로도 남성성과 같은 아니마를 회복하며 치히로도 정체성을 찾아간다. 음식만 밝혀 돼지가 된 부모는 괴로움과 갈등의 원인이지만 내면이 안정되자 대상과의 관계도 회복되고 정체성 확립으로 치히로는 자신감 있는 아이로 거듭나게 된다. 마치 숲에 사는 할머니를 찾으러 무의식의 자아를 찾아 내면을 회복해가는 빨간 모자처럼.. 가오나시는 성장케 하는 모티브 늑대처럼.

 문학적 즐거움보다 현실세계의 속성을 드러내는 비추는 동화는 사실문학과 같다. 환상동화와는 정반대의 문학말이다. 우리는 한 편만 보고 만족하며 그 양면성의 올바른 이해를 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다양성을 수용해야 책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결과를 얻지 않을까. 편향적이지 않고 왜곡되지 않은 가치관을 갖게 해줘야 사고와 이해의 깊이와 폭을 늘리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