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코프 패턴 - 전설적인 트레이딩 교과서
데이비드 와이스 지음, 김태훈 옮김 / 이레미디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의 기술적인 분석에 관한 대표적인 이론들이 있다.

다우이론, 엘리엇 파동. 모두 패턴분석의 심화버전으로 평균치와 거래량을 분석하는 것인데 파동과 패턴은 대중들의 심리 상태를 반영한듯 개별적인 주식 적용에는 효용성이 떨어졌다. 하지만 이들과 같이 존경받는 투자가로 와이코프가 있었는데 그는 차트의 거래량과 통계에 기술적인 분석을 했다. 주식에 초점을 맞춘 차트 분석이었지만 현재는 모든 채권, 외환, 원자재 금융시장에 적용할 있을 정도로 활용범위가 광범위 해졌다. 현재 이런 와이코프 패턴, 축적을 암호화폐전문가들도 적용하며 비트코인 시장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적용하기도 한다.

 바 차트와 파동차트를 통해서 매도 매수의 기회를 찾는 와이코프 축적, 분배 패턴. 와이코프 축적패턴은 단계별로 보는데 거래량의 증가로 매수세가 나타나지만 하락세를 반감시키기는 어려울때 시작된다. 과도한 패닉 매도는 구매자에 흡수 강한 하락으로 반등 자동 랠리로 이어지고 추세의 종결 여부는 시장의 변동과 연관 있지만 항상 연관 있다 생각하면 안된다고 한다. 변동성을 주는 컴퍼지트맨(이론상 뒤에 숨어서 게임을 이해하는 이들에게는 수익을 주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 불리하도록 주가를 조작하는 사람), 이들의 관여로 불트랩과 베어트랩을 반복하지만 축적 단계에서 스프링이 나타난다. 더 높은 저점을 만들기 위해 나타나는 저점 형성 (베어트랩)인데 컴퍼지트맨은 시장 공급이 나타나지 않게 지지선을 무너뜨리고 트레이너들의 투자를 막으며 투자자를 속인다. 이는 상승 추세가 나타나기 전 낮은 가격에 매수하려는 마지막 시도로 소매 투자자들이 매도하도록 유인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거래량과 변동성이 증가하여 높은 저점 및 저항 수준 돌파에 높은 고점을 형성하게 된다. 새로운 지지선과 고점의 갱신으로 강세 징후를 보이고 마지막 단계에 도달하기전에는 수렴 영역을 만든다. 축적패턴의 마지막은 수요자의 증가로 가격 범위의 돌파가 이루어지며 상승세가 시작된다. 거래량이 적고 가격 범위가 좁으며 자산이 축적되기 시작한다. 와이코프 분배 패턴은 축적과 반대 방식으로 작동하며 하락세의 시작 수요에 대한 공급의 강력한 우세로 떨어지기 시작한다.

  와이코프 패턴이 과거보다 요새 많이 들리기 시작한 것은 사람들의 트렌드를 반영한 분석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거짓돌파가 아닌 상승폭의 진입으로 매물대를 뚫을지, 인플레와 금리,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가속되는데 어느 순간이 매수, 매도의 시점인지. 다소 임펄스 파악에 난해하겠지만 꾸준한 읽기를 거듭한다면 원하는 투자시점을 예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