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면의 평화를 위한 요가 철학 레시피 - 완전한 명상으로 이끄는 요가 수업의 기술
세이지 라운트리.알렉산드라 데시아토 지음, 김지윤 옮김 / 동글디자인 / 2024년 1월
평점 :
사람들은 물질적가치에 방점을 두고 삶을
말하고 있다.
돈, 집, 차 그리고 명예, 권력, 성. 외적인 것을
중시하는데 그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지 못하는 현실의 괴리에 사람들은 정신적으로 황폐해지고 스트레스와 불안만 가지고 살아간다. 자신들은 아니라 하지만 웰빙, 욜로, 파이어족 드러나는 형태만 바꿔 추구할 뿐 본질은 경제적 여유에 광적으로 열광하고 있다. 이렇게 피폐해진 사람들은 자신을 다스리고 치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다.
그리고 스미듯이 마음에 들어온 명상법과 운동이 있는데 바로 ‘요가’이다.
정신과
신체의 수련, 몸과 마음의 균형, 잃어버렸던 주체성을 회복, 명상을 통해 삶을 돌아보게 하는 성찰과 반성, 자존감의 회복. 요가는 단순 스트레칭을 넘어서 스트레스와 불안속에 안정을 찾게 해주고 마음을 추스르게 해준다. 사람들은 요가를 통해 정신과 신체의 불균형을 회복하고 수련이 주는 매력에 빠져 직접 사람들을 위한 요가 전도사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단순 코어운동을 해볼까 하던 사람들이 매력에 덕업일치처럼 요가 지도사가 되는 일이
빈번하다.
본 도서는 요가를
하는 방법이던지 매력을 이야기 하는 게 아니다. 그 요가라는 수련에 집중할수록 빠져드는 이유는 호흡과
집중의 철학적 사유가 자신을 성장케 하는데 체계적으로 리드해주는 지도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 깊이와 한계에 실망한다. 그래서 실망감에 자신들이 내적수련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과정이라 던지 앞서 말한 덕업일치의 일환으로
지도사가 되는 사람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다룬 책이다. 자세와 함께 할 수 잇는 절기, 인용구, 만트라 등을 이용해 플랫을 짜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주제와
진행과정, 그에 사용되는 음악과 시, 그에 맞는 자세(아사나)를 이야기 한다. 요가를
접하지 못한 이들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자기 내면의 관찰을 위한 철학적 사유의 운동이므로 내면의 평화로 이어지는데 관심이 있다면 이 강사의
과정들이 흥미와 자신을 찾아가는데 삶의 긍정과 영감을 더해 줄 것이다. 누구를 가르치고 떠나 요가의
본질은 자신의 내면탐구를 통한 온전한 성장을 위한 바탕이 되는 수련이기 때문이다.
요가인은 아니지만
책을 통해 수행을 본다면 행위의 본질이 아닌 깊은 명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아사나 단계의
성취가 아닌 고행에서 오는 내면의 탐구에서 온다는 것을, 요가의 본질을 알 수 있는 것만으로도 책은
흥미와 더불어 마음을 평안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