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꾸물거릴까? - 미루는 습관을 타파하는 성향별 맞춤 심리학
이동귀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꾸물거리다?”
매우 느리게 자꾸 움직이다, 행동이 꿈 뜨고 늦장 부리다. 일부로 의식하여 늦게 움직이다.
언제까지
어떤 일을 처리해야 할지 의식하지만 우리는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에 의식해서 언제나 그 일을 미룬다. 나는
언제나 몇 시간전에 처리해왔어, 늦어도 괜찮아. 아냐, 이건 완벽하지 않아, 별로라서 시도조차 하지 말아야 해. 과거의 나는 늘 혼나고 부족해다 말을 들었는데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등..
다양한 이유로 일에 대한 결과를 종용 받는 우리는 심적으로, 자기충족과 같은 만족감으로
일에 대한 핑계의 사유를 만들며 일을 미룬다. 그래서 상담심리학 연구실팀은 다양한 자료와 체계적인 분석으로
결과를 냈다. 개선 방법에만 몰두하는 사람들은 실패를 거듭할 수 밖에 없고 여러 과정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일에 대한 꾸물거림은 사전의 근본적인 이유를 해결해야 해소할 수 있다고 책은 말한다.
-비현실적인 낙관주의. 사람들은
해야 할 일에 대한 객관적인 수행 평가가 없이 자신의 능력으로 가능하다 생각하고 실천을 미룬다. 하지만
그 결과는? 꾸물거림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자기 비난 경향성. 일의
시도에 앞서 자신이 시작하지 못하는 이유를 능력치의 자책에서 찾는다. 나는 이래서 못해, 저래서 못해. 못해야만 하는 결과에 대해 합리화와 얄팍한 자존감을
지킬 수 있기에 자신을 비난한다.
- 현실에 대한 저항성. 과제가 주어지면 인생은 과제에 집중하게 되고 현실은 과정에 불편하다. 하지만 다양한 현실의 사유로 일은 미루게 된다면? 그 해방감에 자신일을
미루는 이유에 대해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게 되어 미룸을 타당화 시킨다.
-완벽주의 성향. 사람은
다양한 관계에서 이렇게 해야만 결과가 타당하다, 정의롭다. 인식을
종용 받는다. 특히, 부모,
사제, 형제 다양한 관계에서 강요 받아 우리는 완벽을 말하지 않으면 실천을 하는 핑계로
일을 미루게 된다.
-자극 추구 성향. 내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아. 그래서 실천하며 나에겐 무슨 이익이 있는데.
벌릴 일들에 대한 책임감 없이 남들에게 보여지는 이유로 결과를 원하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기준을 핑계로 시도를 하지 않고 미룸을 한다.
사람들에게
백날 설파하고 고치라, 개선점을 말해 봤자 행동은 변화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행동에 대한 이유와 변하지 않는 사유를 고찰하지 않을 때 인생은 아무리 의식해도 밖으로 돈다고 한다. 압박감에 당장의 행동 개선이 아닌 인식의 개선, 왜 우리는 그렇게
생각했고 행동했나 마인드, 그 반향성에 다한 방향을 접한다면 미루는 습관을 타파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