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트렌드 2024 - IT·금융권 취업을 위한
길진세 지음 / 책세상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핀테크 (Fintech - 금융과 기술을 결합한 용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해도 우리의 생활을 잠식해가는 금융서비스의 일종이다. 과거에는 은행에 가야만 금융관련업무를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스마트폰 하나만으로 모든 것이 가능해진 것이 사례이다. 핀테크의 이용과 편리는 알지만 정작 기술의 트렌드나 미래동향 관련정보를 물어보면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금융현장 일선에서 핀테크 서비스를 구축해온 저자는 실무 정보와 현장 방식을 금융권에 취업하고 싶은 취준생들과 핀테크 스타트업 시작하는 사람, 원활한 금융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생활을 극대화 하고 싶은 사람 등을 위해 그 흐름과 미래 전망을 본 도서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핀테크가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우리의 금융서비스를 극대화시켜 자신에게 이롭게 만드는지 그 인사이트를 엿보면 미래를 가늠할 수 있다.

 우리의 금융생활을 바꾸는 핀테크, 실물카드는 언제쯤 사라질까.

현재 우리나라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내려오는 과도기다. O2O결제는 모든 사업자가 노리는 이상향인데 몇 가지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가능하다.

결제시스템의 다원화를 간소화. 다양한 페이들이 등장하면서 자신의 플랫폼으로 유인하여 트레픽을 높이려 하는데 앱을 열고 결제 방식까지 이르는 과정이 복잡하다. 자신의 페이를 고착화 시키기 위해 결제버튼과 자꾸 뭘 시키는 캐시백요인들이 출혈요소, 소비자 불편으로 다가온다.

가맹점주의 이해관계. 다양한 결제시스템이 등장하면서 POS와 같은 단말기의 종류가 많아졌다. 현대카드의 애플페이 도입으로 아이폰의 사용이 극대화 될 것을 예상했으나 현대카드의 가입자만 늘어났다. 결제시스템마다 달라지는 결제기도입에 점주들은 무관심하고 소비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보급화의 실패이다.

습관의 무서움. 카드사용의 활성화로 구축된 인프라와 편리에 사람들은 카드사용을 고수한다. 오프라인까지 모바일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마이 데이터.

개인 자신의 정보를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면 자신의 자산과 관련 금융서비스를 볼 수가 있다. 증권, 카드, 자산, 보험 등을 넘어 이제는 세금, 자동차관리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플랫폼들이 순위다툼이 치열하다. 네이버, 카카오, 토스들이 우선순위를 점하고 있으나 샐러드, 은행권과 삼성금융(모니모)도 자사 앱을 통해 소비자 유입과 트래픽을 늘리려 하나 특화된 서비스가 없어 체리피커 (미끼상품만 가져가는 사람)만 양산중이다. 금융시장의 선도는 마이 데이터의 활용과 활성화에 달려있다.

이 외에도 분야별 전망하는 플랫폼의 성장 전망과 한계, 우리가 궁금한 현실세계와 핀테크의 결합, 빅테크, 취준, 가상화폐, 앱 서비스 등을 말하고 있다. 2023년 하반기부터 부각을 드러내는 트렌드와 2024년 이후의 시장과 영역을 점유할 다양한 핀테크들, 핀테크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를 조망하게 하는 저자의 조심스런 전망이 돋보인다. 핀테크로 인해 변화할 라이프스타일과 금융시장, 트렌드에 대한 빠른 이해와 선점만이 경제적 여유를 갖게 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