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말하기의 모든 것 - 현직 아나운서가 전하는 마법 같은 '스피치' 코칭!
이남경 지음 / 모모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과 관계를 맺어가며 살아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  일 것이다.

사람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자신의 인격과 내면을 보여주고 말을 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이 확립시키며 문제해결로 인해 자신의 끊임없는 발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말에 대한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자신의 의사 전달만, 끊기지 않게만 전달하면 말을 원활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상은 공감하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 소통의 부재, 부정적인 감정만 유발하는 오해의 전가로 돌아 오는 게 말이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말어떻게 활용해야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책은 이런 전제하에 말의 본질을 말하고 왜 배우고 연습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말하고 있다.

 상대방의 입장과 이해, 긍정이 없이 말을 한다면 상대방의 공감과 같은 호응을 얻을 수 없으며 대화자체 또한 불필요한 시간, 체력적 소모로 감정만 불거진다 . 말의 기본은 경청임을 잊지 말고 상대방의 이해로부터 배려하듯 공감해야 하며 긍정적인 답변을 주장이 아닌 권유, 상대방의 입장을 우선시하는 데부터 대화의 기본을 세워야 한다. 스몰 토크로 이야기의 집중도를 높이거나 위안을 받고 픈 상대에게 칭찬을 해주거나 깊은 이해는 되지만 정중한 거절, 상대의 입장을 대변하듯 공감으로 대화하기가 소통의 기본이라고 한다. 책은 대화의 본질로 상대에 대한 기본적인 마인드를 주지하고 스피치 관련된 스킬 부분을 집중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대화는 나, 상대, 상황에서 이루어지므로 대화를 잘 하기 위해서는 모든 상황을 염두해두고 시뮬레이션이 중요하며 과정에선 거울을 보고 눈은 마주치며 지속적인 수정이 중요하다고 한다. 대화에서 말은 음성적언어만으로 전부 인 것 같지만 발음, 뉘앙스, 제스처, 태도 등의 비언적인 요소도 상대방에게 어필하는데 중요하므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습하고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내용에서는 컨텐츠를 설계해야 하는데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녹여내거나 집중도를 위한 어순의 배열, 문장의 구조를 기획해야 수월하도 말한다. 책은 저자의 아나운서 경험을 바탕으로 스토리 구성과 대화 체험의 데이터베이스, 감정 별 상황대화법, 이해와 호응도를 높이는 방법을 담고 있어 짜임새 있는 단계적 연습에 대한 과정을 제시한다. 하지만 스피치에 대한 세세한 방향성을 기본으로 구체적인 목표에 닿을 수 있지만 시뮬레이션과 같은 노력과 연습이 뒷 받침 하지 않으면 안된다 는 것을 책은 거듭 강조하고 있다.

 청년층 사이에서 콜 포비아라는 현상이 대두되는 것 같았지만 이를 넘어 대화 포비아가 더욱 사회현상으로 번지고 있다 한다. 비대면의 시대, 디지털 문맹, 자신의 편의가 이를 심화시킨 동기도 되겠지만 이는 현대인들의 사회적 불안과 압박감이 충만해서 이라고 한다. 자신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넘어 자신을 옭아매는 현상, 그 어느때보다 대화, 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성공적인 삶을 위해서 비중을 더 두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