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본질 - 현대 과학이 외면한 인간 본성과 도덕의 기원
로저 스크루턴 지음, 노정태 옮김 / 21세기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풍요로운 현대사회에서 왜 사람들의 행동은
폭력으로 얼룩지고 타인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일까. 혹자는 인간의
정신이 아프다고 사람들은 치부하지만 오히려 건강한 정신이 더욱 활성화 될 때 이런 사회적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우리가 우울한 이유는 타인의 강요와 사회적 규범에 자신을 생물학적 존재만으로 국한시켜서 이다.
과학은
인간을 영장류, 생물학적 분류로 동물의 한 종으로 분류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지적인 사고와 사유, 행동을 하지 못하는 동물과 동일시 되는 것이 맞는 것일까 그 분류가
인식을 축소시키는 것 아닌가 의심을 해봐야 한다. 동일한 생물체이지만 인간과 동물 그 사이에는 인간만이
갖는 고유의 본질, 인격체가 있어 커다란 간극이 있다. 인격체는
합리적 본성을 지니는 사고체로 분할할 수 없는 개별적 실체를 가져 인간과 동물과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인간들마저
서로 비슷해 보이는 생명체이지만 동일한 생각과 행동을 하지 않으며 사람들은 저마다 개인만의 고유한 인격, 사고와
감정을 바탕으로 창조를 하고 융합을 하며 사회를 구성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극히 개인적이지만 사람들이
구성하는 사회의 속성, 이는 과학으로 해명할 수 없는 인간만이 가진 본질로 인한 것이다.
과학 뿐만 아니라
철학 또한 인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한다. 인간 고유의 본성과 감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인데 3장에서는 윤리 철학자들의 주장에 대한 모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소수의 생존, 다수의 생존을 선택해야 하는 트롤리의 윤리적 딜레마에서
우리는 도덕적 관념에 상관없이 다수를 위한 선택을 강요 받는다. 하지만 이는 다수가 더 좋은 결과를
위한다는 행복을 위해서라는 허구적인 철학적 망상이 아닐까 저자는 이야기 한다. 도덕적 이해도 없이 감정도
없이 최선의 결과만을 추구한다면 우리는 개인이 구성하며 사는 사회가 상호의존, 배려와 같은 도덕적 관념도
결여가 되어 행복을 추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관계를 통해 도덕을 이해하는데 이는 서로 간의
고유의 인성을 바탕으로 시작되므로 행복은 서로에 대한 이해, 인격체,
인간의 본질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저자는
인간 서로의 본질을 인정하지 않아 감정을 마주하지 않으며 미덕과 같은 도덕의 강요, 종교와 같이 믿음을
강요하는 구시대의 인식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이 막연한 행동을 강요하고
마음과 행동에 대한 책임만을 규정하는 사회는 불행으로 얼룩지고 이럴 때 일수록 필요한 것은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돌봄과 행복이란 느낌에 대해 성실하게
답해가며 타인을 인정하는 것, ‘인간의 본질’이 항시 우선이라
책은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