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버스 시대 UAM 인프라 버티포트에 투자하라
김태호 지음 / 경향BP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심항공모빌리티 (UAM).

.현대자동차의 시범비행과 상용화, 잦은 뉴스로 사람들은 한번쯤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들어본 적이 있다. 일종의 드론 처럼 수직 이착륙 항공기를 일컫는데 이것은 자율주행자동차만큼 이동수단의 생태계를 바꿔 놓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항공기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것이 삶에 들어오고 현실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버티포트(Vertiport)의 구축이 중요하다. 왜냐면 제반시설이 구축 안된 상태에서 상용화, 우리는 충전인프라 구축이 안된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활성화에 대한 불편함을 겪어 봤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술에 대한 표준이 없어 충전 인프라 또한 외국기업에 이끌려 가고 있다. UAM에서도 마찬가지, 아직 인프라와 관련기술에 대한 표준이 없는 만큼 시대전환과 같은 모빌리티 혁명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산업의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서는 버티포트 관련 기술을 선점하고 이해를 높혀야 한다.

 이동시간에 혁명이 일어나면 사람의 생활과 질이 바뀐다. 출퇴근의 교통혼잡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회비용 희생은 없어지고 사람들은 자기를 위해 시간을 투자 할 수 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500키로미터를 한 시간안에 이동이 가능하게 하므로 전국에 버티포트가 구축이 된다면 메가시티의 탄생과 지역불균형이 없어 진다. 버티포트와 동시에 새로운 관련 파생산업이 태동한다. 부동산은 버세권으로 구분될 것이고 버티포트가 있는 곳은 인프라의 중심이 될 것이다. 항공기에 래핑 하듯이 하늘을 나는 광고판으로 광고 산업이 발달 할 것이며 다양한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하늘을 나는 관광 산업 또한 발달할 것이다. 하지만 버티포트의 보급을 위해서는 관련 산업의 기준과 제도가 필요하다. 안전 운항을 위한 기술 기준과 설치를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며 보급화를 위해서 세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수익성을 내기 위해서 상업적인 융합시설에 대한 지자체의 허가가 필요하며 지역사회의 수용성, 소음의 규정과 비행경로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 기술 로드맵 주제로 버티포트 구축과 UAM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2025-2030년 수도권 내에서 4, 노선 2, 운임단가 3,000/Km로 운행할 것이라 한다. 2035년에는 20123개 노선, 1,300/Km로 상용화를 예상 한다. 하지만 정부의 로드맵일 뿐 아직 구체적인 지원과 정책은 없다. 기업에서도 한화 에어로만 참여할 뿐 많은 기업의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 다가올 미래 생태계의 강자로 남고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관심과 정부의 추친력과 지원, 기업의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