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군주론 ㅣ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9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김용준 옮김 / 미래와사람 / 2023년 7월
평점 :
마키아벨리즘 (Machiavellism)
자신의 이권이나 권력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라도 행하는 이기적이며 냉혹한 사람을 의미한다. 그럼 마키아벨리는 과연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행복을 추구했던 사람일까? 아니다. 그는 민주주의, 소수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다수의 행복이 보장되면 그 과정에서의 희생은 불가결한 것이며 이것이 행해지려면 군주의 잔혹함은 정당하다고 주장한 이였다.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한다.’ 그가 주창한 문구는 자신의 정당성이나
사익을 위해서가 아닌 현실적인 논리를 통해 타당성 있는 합리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서 였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고전
철학서로 우리는 <군주론>이 쓰여진 배경과 마키아벨리가
어떤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책을 집필했는지 잘 알고 있다. 교양, 이상의
철학가보단 현실적인 생계형 인간이었고 혼돈의 피렌체 시대적 상황에서 분란을
잠재워줄 지도자를 원했다. 피렌체의 지도층은 귀족적 공화주의를 내세우는 나약한 부유층으로 시대적 혼란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무섭게 세력을 키워가는 체사레 보르자를 만나고 그에게서 현실적인
약육강식을 추구하는 모습이 이기적인 군상이 아닌 이상적인 군주 모습과 같아 잔혹하지만 비난하기는 커녕 감탄을 하고 그를 <군주론>의 모델로 삼는다.
목적을
위해 철저한 실리를 추구하는 군주의 이상적인 통치기술을 담은 <군주론>은 크게 네 가지만 집중해서 생각해보면 된다. 세습, 폭력, 선출의 형태에 따라 군주가 보여줘야 할 권위와 권력, 국가 유지를 위해 군주가 지항해야 할 군대의 형태, 왕이 이상적인
통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자세, 그리고 군주가 지녀야 할 미덕이다. 도덕적인
면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며 국가를 위한다는 대의가 있다면 진실과 자비, 인간애와 종교에 반하는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군주론>에선 말한다. 이를 두고 후대의 해석들은 분분하지만 이성적이면서 자비로운 지도자들은 어떤 결과를 내었는지 책은 묻고 있다.
“폭력은 짐승에게나 어울릴 수단이지만, 군주는 때때로 짐승이 되어야 한다. 곧 사자의 힘과 여우의 간교함을 갖추어야 한다.”
누구에게나
힘들고 가혹한 삶, 우리는 이성적으로 현실을 바라보지 않고 고통으로 인내하며 마주하기보단 꿈과 환상에
젖어 잔혹한 현실을 외면하려 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상황은 나아지고 있나 우리는 자문해봐야 한다. <군주론>의 이상적인 군주가 갖춰야 할 냉혹하지만 현실적인
자세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닌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