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 이성을 넘어 다시 만나는 감정 회복의 인문학 ㅣ 서가명강 시리즈 30
신종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6월
평점 :
행복은 결과일까 그것을 찾아가는 과정 일까.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과 가치가 달라 보편적으로 정의할 순 없지만 행복은 외적인 성공과 재산보다 과정에서 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같은 데서 오는 내면의 감정을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부와 성공을 쌓으면 그런 감정은 부수적으로 따라올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런 결과물을 이루고도 행복하지 않다는 말을 한다. 다
갖춘 것 같은데 왜 일까. 저자는 감정을 인지하고 감정 정보를 처리하는 ‘정서 지능’에 문제가 있어 그렇다고 한다.
감정 – 사람들이 갖는 일반적인 심리 상태.
정서 – 특정상황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 상태.
감정과 정서를
구분하는 이유는 감정은 단편적인 마음의 상태이고 정서는 과거에 경험한 자극에 대해 짧게 유지되는 배경이다. 하지만
과거처럼 그 정서를 유발하는 환경이 갖춰지면 사람들은 행동을 하는데 과거의 경험대로 행동한다. 호랑이를
만나면 두려움을 느끼고 본능적으로 도망가는 것과 같은데 이 생존과 관련된 정서를 기본 정서라 하고 공포, 놀람, 기쁨, 슬픔, 혐오, 분노가 모태가 되는 감정이라 한다. 하지만 군집생활을 하고 공동체
생활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도 있기에 여기에 모멸감과 자부심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자신의
감정에서 느끼는 기본정서 외에도 집단정서와 같은 사회적문제는 부정적인 정서로 고착화되어 우울증 호소하는 현대인을 많이 양성하고 사회적 부작용으로
자살, 따돌림, 폭력등의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자신 조절 능력을 바탕으로 감정을 이해하고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을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정서 조절이 필요하다. 자신의 기준을 세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타인과의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나 모임을 가져야 한다. 부정적인 감정을 야기하는 스트레스 해소에는 같은 가벼운 운동을 해준다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없앨 수 있다고 한다. 행복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행복은 심리적 안녕감, 지극히 주관적인 안녕감에 의해 기인한다고 하는데 이는 객관적인 경험이 아닌 주관적인
경험과 해석을 근거로 한다고 한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고 어떻게 마주하며 받아 들이냐에 따라 삶은
행복으로 충만할 수도 있고 물질적인 것과 사회적 지위를 갖추어도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다. 목적과
결과물을 통해 행복을 추구할지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정서를 통해 찾아갈지 책은 우리에게 이해하고 직시할 것을 말하고 있다.
유난히
사회적 정서라는 말이 언론에서 많이 들리고 비교와 획일화된 틀에 맞춰 행복을 그리지 않나 생각이 든다. 그래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마주하고 깊은 사유만이 행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준다는 말이 깊게 스며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