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을 뒤엎는 돈의 심리학 - 돈을 보는 관점이 그 사람의 인생을 좌우한다
저우신위에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행동의 기준을 살필 때 우리는 저 사람은 부자라서 그래, 돈이 많아서 그래등으로 과정이 이상해도 타인의  행동을 합리화 할 때가 있다. 하지만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세운 기준을 자신의 행동에 적용해도 부자가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를 저자는 인문학적 이유에서 인간의 심리가 돈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인해서 살펴봐야 오류를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돈이 인생의 목적은 아니겠지만 유한한 시간과 한정된 자원으로 우리는 돈을 갈구한다. 행복의 기준도 아니지만 행복의 요건들을 충족시켜 불필요한 고민을 하지 않기에 우리는 돈을 추구한다. 근데 무의식적으로 이렇게 하면 돈이 벌린다, 돈을 버는 습관이다 기준도 없이 자신의 관점과 행동을 정당화하면서 결정하고 나아간다. 하지만 결과는? 돈은 안 모이고 마음은 후회와 공허만이 가득 한다.

 도박에서 돈을 조금 베팅하여 해서 돈을 벌게 되었다. 그리고 시드 머니가 늘어나자 더욱 과감한 베팅을 한다. 결국엔 돈을 다 잃고 만회하려는 마음만 가득하게 된다. 그리고 돈을 잃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이것은 하우스 머니 효과라고 하는데 도박해서 번 돈은 자신의 돈이 아닌 남의 돈을 얻은 것으로 인식에 다시 도박에 과감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종국엔 이게 자기 돈인지 타인의 돈인지 구분도 못하고 조그만 성공의식에 만회하려는 욕구만 강하다.

 카 푸어, 하우스 푸어 같이 사회현상을 대변하는 단어들이 생겨났다.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빈부격차가 큰 사회일수록 신분을 드러내는 상품에 관심이 커진다고 한다. 왜냐면 비싼 물건을 사는 행위는 사회적 지위를 얻는 것과 같은 만족감을 주기 때문이다. 영국의 교수가 구글 검색어를 통해 가난한 사람의 심리를 입증했는데 못 사는 주에서는 랄프 로렌 같은 고급 상표의 검색이 많았고 잘사는 주에는 치킨이나 레몬 같은 것에 대한 검색이 많았다. 검색은 저축률로도 이어지고 빈곤한자는 더욱 빈곤하게 부자는 더욱 부자로 빈부격차를 키우고 있다.

작은 숫자지만 돈에 대한 심리를 자극해 소비를 이끌어내는 마케팅,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기부에서 엿보이는 돈에 대한 관념, 물건보다 경험을 사는 부자의 마인드, 권선 징악설을 맹신하고 무모한 복권을 기대한 사람들의 마인드등 돈을 대하는 사람들의 다양성을 통해 타파 해야 할 고정관념과 습관을 말하고 있다. 인간의 감정을 통해 돈이 불러일으키는 오해와 돈을 통해 보이는 왜곡된 삶을 말하고 진정한 소비와 행복을 깊게 다루고 있다. 부자가 되어 더욱 부자로 거듭날지 가난한 자가 되어 돈만 바라볼지 책을 읽다 보면 객관적인 시선으로 자신에 대해 깊게 생각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